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독일어 물리적 충격 동사의 목적어 차별표시Differenzielle Objektmarkierung bei physischen Einwirkungsverben im Deutschen

Other Titles
Differenzielle Objektmarkierung bei physischen Einwirkungsverben im Deutschen
Authors
신용민
Issue Date
2020
Publisher
한국독일어문학회
Keywords
도상성의 원리; 목적어차별표시; 유정성의 위계; 유표성의 원리; 피영향성; Affiziertheit; Belebtheitshierarchie; differentzielle Objektmarkierung; Ikonizität; Markiertheit
Citation
독일어문학, v.28, no.3, pp 239 - 261
Pages
23
Indexed
KCI
Journal Title
독일어문학
Volume
28
Number
3
Start Page
239
End Page
261
URI
https://scholarworks.gnu.ac.kr/handle/sw.gnu/7603
DOI
10.24830/kgd.28.3.12
ISSN
1229-1560
Abstract
독일어의 물리적 충격 동사는 목적어 차별표시 현상과 관련하여 특별한 그룹을 형성하고있다. 이들은 피행위자의 유정성과 피영향성의 구조적 실현에 민감하다. 물리적 충격 동사는유정성의 피행위자를 4격 직접목적어로 표시하고(예, Er schlug den Mann), 무정성의피행위자는 전치사를 통한 간접격표시를 기본으로 한다(예, Er schlug auf den Tisch). 이러한 기본적인 격표시 방법은 피영향성이라는 요소가 개입되면 달라진다. 충격으로 인한‘이동’이나 ‘상태변화’를 나타내는 경우에는 무정성의 피행위자도 4격 직접목적어로 표시된다. 즉 단순 충격보다 이로 인한 이동이나 상태변화가 더 높은 피영향성을 가진 것으로 인식된다. 따라서 무정성 피행위자를 4격 목적어로 표시하기 위해서는 방향성의 부가어(예, Erschlug den Ball ins Tor), 상태변화를 나타내는 이차술어(Er schlug den Tischkaputt) 또는 동사의 접두어 첨가(예, Er zerschlug den Tisch)와 같은 별도의 형태ㆍ통사적 조치가 필요하다. 결론적으로 피영향성이 낮은 목적어 논항은 구조적으로 유표적인전치사를 통한 간접격표시를 가진다는 점에서 이를 ‘저피영향성 목적어 차별표시’라고 할 수있다. 독일어의 이러한 DOM 현상이 다른 언어들과 어떠한 공통점 또는 차이점을 보이는지, 그리고 선행연구들이 DOM 현상을 설명할 때 자주 언급하는 유표성과 도상성의 원리와같은 이론에 얼마나 부합하는지를 살펴보고 있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인문대학 > 독어독문학과 >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Shin, Yong Min photo

Shin, Yong Min
인문대학 (독어독문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