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안드레이 즈뱌긴체프 감독의 영화 <옐레나(Елена)> 연구 – '경계'의 모티프를 중심으로A study of Andrei Zbyaginchev's film Elena

Other Titles
A study of Andrei Zbyaginchev's film Elena
Authors
홍상우
Issue Date
2020
Publisher
연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Keywords
영화 < 옐레나> ; 안드레이 즈뱌긴체프; 현대 러시아영화; 경계; 부모-자식의 테마; Film Elena; Andrei Zvyagintsev; Contemporary Russian Cinema; Boundary; Theme of parent-child relationships
Citation
유럽사회문화, no.25, pp.175 - 196
Indexed
KCI
Journal Title
유럽사회문화
Number
25
Start Page
175
End Page
196
URI
https://scholarworks.bwise.kr/gnu/handle/sw.gnu/7355
DOI
10.23017/eurosc.2020..25.175
ISSN
2005-8055
Abstract
2011년 7월에 공개된 안드레이 즈뱌긴체프(Андрей Звягинцев) 감독의 영화 <옐레나>(2011)는 그의 전작 <귀향(Возвращение)>(2003)과 <추방(Изгнание)>(2007)에 이어서 일종의 물리적 혹은 추상적 경계를 중심에 놓고 있는 작품이다. 성서와 신화의 모티프를 주로 사용했던 전작의 경우와는 조금 다르게 영화 <옐레나>는 수도인 모스크바 중심부와 그 주변과의 공간적 대립을 배경으로 하고 있으며, 한 여인이 사회경제적인 중심으로 이동하려는 시도에 관해 이야기하고 있다. 이 영화는 전직 간호사 출신인 옐레나라는 여인이 경제적으로 부유한 남편을 만나 표면적으로는 남부럽지 않은 생활을 하게 되면서 겪는 갈등을 그리고 있으며, 전남편과의 사이에서 낳은 옐레나의 아들과 현남편인 블라지미르(Владимир)가 살고 있는 세계가 서로 전혀 다르기 때문에 옐레나는 어느 쪽에도 속하지 못하고 양쪽을 왕복하고 있다. 바로 이런 점에서 영화 <옐레나>에서는 무엇보다도 ‘경계’라는 모티프가 부각될 수 밖에 없다. 영화에서는 경제적으로 구분되는 생활 공간의 지리적 수준의 경계, 옐레나의 과거와 현재의 경계 등이 복합적으로 어우러져 하나의 서사를 구성하고 있다. 필자는 영화 〈옐레나〉가 이러한 경계를 통하여 역동적인 스펙터클이나 의외의 극적인 효과를 배제하면서도 관객에게 정서적인 충격을 안겨주고 있으며, 삶의 본질을 예리하게 포착하고 있는 점에 주목하면서 이 작품을 분석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논의 과정에서 영화의 완성도의 높여주는 여러 요소들도 함께 언급될 것이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인문대학 > 러시아학과 >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Hong, Sang Woo photo

Hong, Sang Woo
인문대학 (러시아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