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바르디노-발카르공화국의 카바르다인의 민족-언어상황 연구A study on Kabardian’s Ethno-Linguistic situation of Kabardino-Balkar Republic
- Other Titles
- A study on Kabardian’s Ethno-Linguistic situation of Kabardino-Balkar Republic
- Authors
- 정경택
- Issue Date
- 2020
- Publisher
-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러시아연구소
- Keywords
- Kabardino-Balkar Republic; Adygh; Kabardian language; Russian language; Language Situation; 카바르디노-발카르공화국; 아드그민족; 카바르다어; 러시아어; 언어 상황
- Citation
- 슬라브硏究, v.36, no.4, pp.331 - 348
- Indexed
- KCI
- Journal Title
- 슬라브硏究
- Volume
- 36
- Number
- 4
- Start Page
- 331
- End Page
- 348
- URI
- https://scholarworks.bwise.kr/gnu/handle/sw.gnu/7312
- DOI
- 10.17840/irsprs.2020.36.4.013
- ISSN
- 1225-0406
- Abstract
- 북캅카스의 카바르디노-발카르공화국은 아드그민족의 한 그룹인 카바르다인들과 투르크계의 발카르인들이 토착주도민족인 공화국이다. 비록 두 민족이 토착주도민족이기는 하지만 카바르다인의수가 절반을 넘어, 아드그민족이 토착주도민족인 아드게야공화국, 카라차이-체르케스공화국 중에서가장 아드그민족의 정체성과 언어를 잘 보전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러시아연방의 모든 민족공화국처럼 토착주도민족의 언어가 공화국의 국어이지만 연방의국어인 러시아어의 지위는 견고하고 사용영역도 계속 확장되고 있다. 소련 당시 인위적인 경계 설정으로 인한 아드그민족의 분할과 이에 따른 서로 다른 민족 명칭의 탄생, 그리고 민족과 언어가 다른민족과 한 공화국에서의 공존, 여전한 러시아어의 압도적 지배는 북캅카스 지역에서 나타나는 일반적인 현상이다.
이 연구에서는 연구자의 앞선 연구에서 본 아드게야와는 다른 카바르다-발카리야의 민족-언어상황이 소련 당시 인위적인 민족 명칭 부여 및 두 다른 민족이 토착주도민족이 된 공화국 형성과정을통해서 나타난 공화국만의 고유한 특징임을 밝혔다. 카바르다인은 대부분 지방에 거주하면서 카바르다어 단일언어사용자이지만, 젊은이들은 교육과 매스컴을 통해 러시아어를 구사하고, 그리고 도시에서는 다른 소수민족들과의 의사소통에서 링구아 프랑카로서 러시아어를 사용하는 이중언어사용자들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앞으로 러시아연방 정부의 러시아어 지위 확립과 사용확장 정책의 강화로 아드게야처럼 빠르지는 않겠지만 카바르다-발카리야에서도 민족-언어의 러시아화가 계속 진행될 것임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카바르다-발카리야의 민족-언어연구는 또 다른 토착주도민족인 발카르인들과 이들의언어 연구도 반드시 이루어져야 하는데, 이들도 인접 카라차이-체르케시야의 카라차이인과 같은 민족으로서 카바르다인, 아드게이인, 체르케스인과 거의 같은 민족-언어상황에 처해있기 때문이다.
-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Appears in
Collections - 인문대학 > 러시아학과 >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