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 대흥란 자생지의 생태적 특성 - 거제시(도) 노자산을 중심으로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Cymbidium macrorrhizum Habitats, a Rare and Endangered Species - A Case Study of Nozasan(Mt.) in Geoje-city, Gyeongnam-do -

Other Titles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Cymbidium macrorrhizum Habitats, a Rare and Endangered Species - A Case Study of Nozasan(Mt.) in Geoje-city, Gyeongnam-do -
Authors
정명희문현식김태운주정운김소진원종태
Issue Date
2020
Publisher
한국도서(섬)학회
Keywords
입지환경; 토양환경; 식생구조; 종간 상관관계; 생태적 특성; 노자산; 희귀식물; site environment; soil environment; vegetation structure; correlation between species; ecological characteristics; Nozasan(Mt.); rare plant
Citation
한국도서연구, v.32, no.4, pp.301 - 316
Indexed
KCI
Journal Title
한국도서연구
Volume
32
Number
4
Start Page
301
End Page
316
URI
https://scholarworks.bwise.kr/gnu/handle/sw.gnu/7295
DOI
10.26840/JKI.32.4.301
ISSN
1738-1592
Abstract
거제도 노자산은 우수한 경관과 보전가치가 높은 생태자원이 풍부한 곳임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으로 개발압력이 가중되고 있는 상황이다. 본 연구는 환경부 멸종위기식물이면서 산림청 희귀식물인 대흥란이 거제도 노자산에서 대규모로 확인되어 대흥란 자생지의 보전 및 복원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상대적으로 많은 개체수가 확인된 조사지 6곳을 선정하여 입지환경, 토양환경, 식생구조, 종간상관관계 등 생태적 특성을 2020년 6월~8월 사이에 현장조사하였다. 대흥란 자생지는 해발고 84m에서 137m의 상대적으로 낮은 곳에 분포하고 있었으며 경사도는 2~12o로 비교적 완경사지였다. 노암률은 평균 16.2%였으며 범위는 9%에서 22% 사이였다. 유효토심과 낙엽층 두께는 각각 19.3 cm와 10.9 cm로 나타났다. 조사구별 대흥란 개체수는 1번 조사구 212개체, 2번 조사구 63개체, 3번 조사구 45개체, 4번 조사구 117개체, 5번 조사구 55개체, 6번 조사구 200개체로 확인되었다. 대흥란 개체수가 가장 많이 확인된 조사구 1과 6에서 노암률과 유효토심 그리고 낙엽층 두께가 상대적으로 높은 값을 보였다. 토양수분 함량은 평균 25.9% (24.2∼27.9%)로 비교적 습한 환경이었으며, pH는 5.76(5.52∼5.99), 유기물함량은 6.86%(5.25∼8.48%), 전질소는 0.34%(0.28∼0.42%), 유효인산은 5.52 ppm(3.0∼10.8 ppm), CEC는 16.9 cmol+/kg(15.2∼18.9cmol+/kg)의 값을 보였다. 치환성양이온 함량은 Mg2+>K+>Ca2+>Na+ 순으로 나타나 일반적인 경향과는 다르게 나타났다. 중요치 분석 결과, 모든 조사구의 교목층에서는 중요치의 값의 차이는 있지만 곰솔이 우점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아교목층에서는 때죽나무, 사스레피나무, 비목나무의 중요치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관목층에서는 덜꿩나무, 사스레피나무, 비목나무 등의 중요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초본층에서는 모든 조사구에서 주름조개풀의 중요치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종다양도 지수는 교목층에서 0.520∼0.980, 아교목층 0.718∼1.133, 관목층 0.919∼1.201의 범위에 있었으며, 균재도와 우점도는 각각 교목층에서 평균 0.730, 0.270, 아교목층에서 0.722, 0.278, 관목층에서 0.847, 0.153로 조사지간에 큰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Pearson의 종간 상관관계에서 대흥란은 가지청사초, 옥녀꽃대 계요등과는 정의 상관관계가 인정되었으며, 마와는 부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Spearman의 순위상관에서 대흥란은 산족제비고사리, 둥근털제비꽃, 그늘사초, 우산나물과 부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농업생명과학대학 > 환경산림과학부 >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Moon, Hyun Shilk photo

Moon, Hyun Shilk
농업생명과학대학 (환경산림과학부)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