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경제 생태계 분석: 경남의 사례를 중심으로The Analysis of Social and Solidarity Economy Ecosystem: The Case of Gyeongsangnam-do in South Korea
- Other Titles
- The Analysis of Social and Solidarity Economy Ecosystem: The Case of Gyeongsangnam-do in South Korea
- Authors
- 송원근; 이은선
- Issue Date
- 2020
- Publisher
- 한국산업경제학회
- Keywords
- 사회적기업; 협동조합; 사회적경제 생태계; 사회적경제기업; 텍스트마이닝; 의미망 네트워크 분석; social enterprise; cooperatives; social economy; social economy ecosystem; semantic network analysis
- Citation
- 산업경제연구, v.33, no.1, pp 11 - 32
- Pages
- 22
- Indexed
- KCI
- Journal Title
- 산업경제연구
- Volume
- 33
- Number
- 1
- Start Page
- 11
- End Page
- 32
- URI
- https://scholarworks.gnu.ac.kr/handle/sw.gnu/7263
- DOI
- 10.22558/jieb.2020.2.33.1.11
- ISSN
- 1229-201X
- Abstract
- 본 연구는 의미망 네트워크분석(semantic network analysis) 방법론을 적용해 지역 내 사회적경제 생태계 구축 정도와 수준을 분석한 것이다. 사회적경제 생태계 관련 기존 연구는 이론적 논의에 그치거나 사회적경제 관련 통계데이터를 토대로 양적 지표들의 발달 정도를 보여주는 것이었다. 또한 광역시‧도나 지자체 등 특정 지역의 생태계를 대상으로 하는 경우, 주로 정책적 차원에서 타 시‧도의 정책을 정확한 근거 없이 모방하는 경향도 많았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도출한 사회적경제 생태계 요소들이 보이는 기술적인 데이터 분석에 의미망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사회적경제 관련 담론 구조를 추가하여 지역의 사회적경제 생태계 분석을 보완함으로써 지역의 사회적경제 생태계를 좀 더 정확하게 파악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경남은 2017년이 되어서야 사회적경제 생태계 관련 핵심단어들이 등장하기 시작했으며, 2018년에 이르러서야 단순 일자리 창출에서 벗어나 사회적경제 담론이 질적으로 심화되었고, 따라서 경남 사회적경제 생태계 담론이 획기적으로 전환되고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사회적경제 생태계 구축을 위한 정책수립에서 담론 흐름과 핵심 내용을 아는 것이 중요함을 의미한다. 사회적경제기업 수나 매출액, 관련 법‧제도의 정비, 네트워크 참여율 등과 같은 지표들은 분명히 사회적경제기업들의 성과를 나타내는 중요 지표들이다. 하지만 기존의 기술통계적 분석에 기초한 정책적 함의만으로는 잘못된 정책적 처방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기술통계적 분석에 전국 대비 경남 지표를 지수화한 비교분석과 키워드 및 의미망 네트워크 담론분석을 추가하여 지역생태계를 좀 더 정확하고 풍부하게 이해하고, 이를 토대로 정책을 제시할 수 있다면 지속가능한 생태계 조성과 사회적경제의 양적· 질적 확대 효과도 기대해볼 수 있을 것이다.
-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Appears in
Collections - 사회과학대학 > 경제학부 >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