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대 교수의 지역밀착형 산학협력 참여기제와 특성에 관한 탐색연구: 서부경남 지역을 중심으로An Exploratory Study on the Mechanism and Characteristics of Professors’ Participation in Community-based University-Industry Cooperation in Local Region
- Other Titles
- An Exploratory Study on the Mechanism and Characteristics of Professors’ Participation in Community-based University-Industry Cooperation in Local Region
- Authors
- 박종복; 박상욱
- Issue Date
- 2020
- Publisher
- 한국혁신학회
- Keywords
- Local University; Community-based University-Industry Cooperation; Participation Mechanism; Grounded Theory; 지방대학; 지역밀착형 산학협력; 참여기제; 근거이론
- Citation
- 한국혁신학회지, v.15, no.1, pp.63 - 94
- Indexed
- KCI
- Journal Title
- 한국혁신학회지
- Volume
- 15
- Number
- 1
- Start Page
- 63
- End Page
- 94
- URI
- https://scholarworks.bwise.kr/gnu/handle/sw.gnu/7252
- DOI
- 10.46251/INNOS.2020.02.15.1.63
- ISSN
- 2005-971X
- Abstract
- 지역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지방대학을 중심으로 하는 지역밀착형 산학협력이 활성화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지방대 교수의 지역밀착형 산학협력 특성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방대 교수가 지역밀착형 산학협력에 참여하는 기제를 Strauss and Corbin(1990, 1998)의 근거이론(grounded theory) 접근법으로 분석한다. 분석대상은 서부경남에 위치한 지방대학에서 산학협력 활동경험이 있는 교수이며, 근거이론의 이론적 표집에 따라 9명의 최종 연구참여자를 결정하였다. QSR사의 NVivo10을 활용하여 면담자료의 개방코딩과 축코딩을 수행한 결과, 110개의 개념과 24개의 하위범주, 그리고 12개의 범주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개방코딩과 축코딩의 결과를 토대로 ‘지방대 교수의 지역밀착형 산학협력의 특성’을 핵심범주로 선정하고 이야기 윤곽으로 이론을 전개하였다. 지방대 교수의 지역밀착형 산학협력의 특성으로는 ‘교원의 임무로 인식’, ‘지역연고의 효과’, ‘주된 재원은 중앙정부’, ‘비공식적 산학협력이 우세’, ‘지역기업으로 학생공급 애로’ 및 ‘인프라는 수도권 대비 열위’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탐색한 지방대 교수의 지역밀착형 산학협력 참여기제와 특성은 후속연구의 토대로 활용될 수 있다.
-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Appears in
Collections - College of Business Administration > 경영학부 >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