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0년대 이후 우리나라 등록 제초제의 제반 특성별 현황Status of Herbicides Registered in Korea Since the 1980s
- Other Titles
- Status of Herbicides Registered in Korea Since the 1980s
- Authors
- 유진상; 임태헌; 최성환; 이동운
- Issue Date
- 2020
- Publisher
- 한국잔디학회
- Keywords
- Active ingredient; Formulation; Herbicide; Registration; Toxicity; 계통; 독성; 등록; 제초제; 제형
- Citation
- Weed & Turfgrass Science, v.9, no.1, pp.1 - 10
- Indexed
- KCI
- Journal Title
- Weed & Turfgrass Science
- Volume
- 9
- Number
- 1
- Start Page
- 1
- End Page
- 10
- URI
- https://scholarworks.bwise.kr/gnu/handle/sw.gnu/7247
- DOI
- 10.5660/WTS.2020.9.1.1
- ISSN
- 2287-7924
- Abstract
- 우리나라에서 제초제의 공급은 1955년부터 시작하여 1970년대이후로 증가하고 있다. 본 조사는 1980년대 이후 우리나라에 등록된 제초제들의 일반적 현황(등록 품목, 독성별 구분, 제형별 구분, 성분별 구분)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1982년이후 제초제 등록 품목수는 2014년을 정점으로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등록된 제초제의 85.3%가 저독성이었으며 2010년대 이후 등록된 제초제의 86.1%는 어독성 3급이었고, 1.9%만 어독성 1급이었다. 등록 된 제초제들의 제형별 구성은 1990년대 9종에서 2010년대 17종으로 다양성이 증가하였다. 1980년대 이후 등록된 제초제들의 18가지 제형들중 우점순위는 입제, 유제, 액제, 액상수화제 순이었는데 이들 네 제형의 점유비율은 76.2%였다. 등록 제초제들의 계통별 구성은 년대기별로 다양화되었으나 등록 품목수가 가장 많은 계통은 1990년대 이후 sulfonylurea계통이 가장 많았으며 두 번째는 chloroacetamide계통이었다. 전체 등록 제초제의 계통들 중 상위 3개 계통의 점유 비율은 년대기별로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나 평균 점유비율은 39.3%로 높았다.
-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Appears in
Collections - 농업생명과학대학 > 원예과학부 >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