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에 의존하는 20대 성인의 의존 관련 요인Factors Associated with Dependence among Smartphone-Dependent Adults in Their 20s
- Other Titles
- Factors Associated with Dependence among Smartphone-Dependent Adults in Their 20s
- Authors
- 박정혜
- Issue Date
- 2020
- Publisher
- 한국산학기술학회
- Keywords
- Adult; Smartphone; Cell Phone; Internet Access; Dependency
- Citation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21, no.6, pp.366 - 373
- Indexed
- KCI
- Journal Title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Volume
- 21
- Number
- 6
- Start Page
- 366
- End Page
- 373
- URI
- https://scholarworks.bwise.kr/gnu/handle/sw.gnu/7211
- DOI
- 10.5762/KAIS.2020.21.6.366
- ISSN
- 1975-4701
- Abstract
- 본 연구의 목적은 스마트폰에 의존하는 20대 성인의 의존 관련 요인을 확인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하여 2017년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정보화진흥원에서 실시한 스마트폰 과의존 실태조사 자료 중 스마트폰에 의존하는 20대, 879명을 분석하였다. 자료분석은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독립표본 T 검증, Pearson 상관관계,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대상자가 가장 많이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 유형은 메신저였고, 의존이 심각한 고위험군은 SNS(Social Networking Services), 음악, 게임도 많이 사용하였다. 또한, 의존이 증가할수록 스마트폰 사용빈도가 매우 잦아지고(β=.16, p=.000), 게임(β=.10, p=.028), 웹툰(β=.14, p=.004), SNS(β=.09, p=.047), 금융거래(β=.17, p=.000) 애플리케이션 사용정도가 유의하게 높아졌다. 그러나 대상자들은 의존도가 비교적 낮을 때 자신의 스마트폰 의존에 대해 거의 인식하지 못하였고, 의존이 더욱 심각해진 후 자신이 다른 사람에 비해 좀 더 스마트폰에 의존한다고 인식하였다. 이것은 성인이 스스로 자신의 스마트폰 의존을 인식하기가 쉽지 않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성인이 자신의 문제를 발견하고 해결하는 첫 단계는 문제를 인식하는 것이다. 모든 스마트폰에 자신의 스마트폰 사용행태를 객관적으로 관찰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이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Appears in
Collections - 간호대학 > Department of Nursing >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