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전산 유체역학을 통한 베개 높이가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에 미치는 영향 분석Computational Fluid Dynamic Analysis of the Effect of Pillow Height on Obstructive Sleep Apnea

Other Titles
Computational Fluid Dynamic Analysis of the Effect of Pillow Height on Obstructive Sleep Apnea
Authors
최장원박세현김원태유민규이호석허재식김경욱최영호김형호
Issue Date
2020
Publisher
대한기계학회
Keywords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 상기도; 공기 흐름; 전산 유체역학; 베개 높이;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Upper Airway; Air Flow;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Pillow Height
Citation
대한기계학회논문집 B, v.44, no.8, pp 483 - 490
Pages
8
Indexed
SCOPUS
ESCI
KCI
Journal Title
대한기계학회논문집 B
Volume
44
Number
8
Start Page
483
End Page
490
URI
https://scholarworks.gnu.ac.kr/handle/sw.gnu/7186
ISSN
1226-4881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전산 유체역학을 사용하여 베개 높이에 따라 상기도에서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의 발생에 대하여 분석하는 것이다. 머리 지지대의 초기 높이가 0cm인 모델 1, +2cm인 모델 2, 그리고 +4cm인 모델 3에 대한 CB-CT(cone beam CT) 이미지를 통해 만들어진 3차원 상기도 모델이 전산 유체역학을 위해 이용되었다. 인두에서 6개의 단면은 각 모델에 대하여 최대 흡기, 휴식기, 호기에 따라 속도, 압력, 면적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하였다. 머리 지지대의 높이는 상기도의 유동 특성과 관계가 있었다. 모든 모델에서 단면적이 좁을수록 큰 유량과 음압이 발생하였지만, 모델 2에서 상기도 저항과 연인두에서의 평균 압력이 가장 낮았다. 그러므로 적절한 베개 높이를 선택하는 것은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융합기술공과대학 > 기계소재융합공학부 >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im, Hyoung Ho photo

Kim, Hyoung Ho
우주항공대학 (항공우주공학부)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