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인공습지 조성 후 환경변화가 잠자리목의 종수 및 개체수에 미치는 영향 파악Understanding the Impact of Environmental Changes on the Number of Species and Populations of Odonata after Creating a Constructed Wetland

Other Titles
Understanding the Impact of Environmental Changes on the Number of Species and Populations of Odonata after Creating a Constructed Wetland
Authors
이수동배순형이광규
Issue Date
2020
Publisher
한국환경생태학회
Keywords
습지 환경 변화; 습지의존종; 종다양성; 개방수면; WETLAND ENVIRONMENT CHANGE; WETLAND-DEPENDENT SPECIES; SPECIES DIVERSITY; OPEN WATER
Citation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34, no.6, pp.515 - 529
Indexed
KCI
Journal Title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ume
34
Number
6
Start Page
515
End Page
529
URI
https://scholarworks.bwise.kr/gnu/handle/sw.gnu/7118
ISSN
1229-3857
Abstract
인공습지는 조성 후 자연적인 천이 과정으로 인해 육상식물의 비율이 높아지는 등 생물학적 및 물리적인 변화가 진행되는데, 이는 정화 기능 뿐만 아니라 종다양성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낙동강 매수토지 중 수심, 주변 입지 조건등을 고려하여 7개의 인공습지를 선정한 후 물리적인 환경 및 생물종의 시계열적인 변화를 모니터링한 결과를 바탕으로생물다양성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을 도출하고 관리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서식처와 종다양성의 변화 경향을 예측하고자 환경현황과 습지의존종인 잠자리목의 출현 현황을 파악하였다. 수심 0.2~1m 내외로 복원되어 수면이 유지되었던 2012년과 비교하여 2015년에는 식재된 추수식물이 깊은 수심으로 확산되면서 개방 수면의 면적도 줄었다. 잠자리의 종수는 총54종류가 관찰되었는데 식재한 식물이 확산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식생, 수면, 초지 등 서식처 다양성이 유지되어 조성 초기와유사하였다. 하지만, 잠지리의 개체수는 2012년과 비교하여 2015년에 줄었는데, 이는 수면이 축소되면서 수생식물이 드문곳을 선호하는 실잠자리과에 속하는 종의 개체수가 감소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연도별 습지간 종수 및 개체수의차이를 분석한 결과 p-value가 각각 2.568e-09, 1.162e-08로 차이는 유의하였다. 개방 수면 감소가 종다양성과 잠자리의서식밀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는데, 조성 초기에 식재한 갈대, 달뿌리풀, 부들 등 추수식물의 확산이개방 수면 축소와 잠자리 종수 감소를 초래하므로 개방 수면을 유지하는 관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건설환경공과대학 >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Lee, Soo Dong photo

Lee, Soo Dong
건설환경공과대학 (조경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