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제주 해녀 공동체의 공유지 관리 특성과 사회경제적 지속가능성The Self-governance of the Commons and the Socio-economic Sustainability of the Jeju Haenyeo Community

Other Titles
The Self-governance of the Commons and the Socio-economic Sustainability of the Jeju Haenyeo Community
Authors
이종호송원섭권경희조철기
Issue Date
Dec-2023
Publisher
한국경제지리학회
Keywords
공유지의 비극; 공동체 자치 모델; 제주해녀 공동체; 지속가능성; tragedy of the commons; self-governance of the commons; Jeju Haenyeo community; sustainability
Citation
한국경제지리학회지, v.26, no.4, pp 458 - 476
Pages
19
Indexed
KCI
Journal Title
한국경제지리학회지
Volume
26
Number
4
Start Page
458
End Page
476
URI
https://scholarworks.gnu.ac.kr/handle/sw.gnu/69539
DOI
10.23841/egsk.2023.26.4.458
ISSN
1226-8968
2713-9115
Abstract
본 연구는 공유지 비극의 극복 방안으로 공동체 자치 모델에 대한 기존 사례 연구를 분석하여 성공적인공유지 관리의 필요 요소와 방해 요소를 도출한다. 이러한 요소를 성공적 공동체 자치 모델로 인정받는 제주해녀 공동체의 사회·경제적 속성과 비교 분석하여, 현재 당면한 내·외부적 변화 속에서 앞으로도 이러한 공동체내부 기제가 유용하게 작동될 수 있을 것인지, 향후 제주해녀 공동체 자치의 지속에 필요한 사회·경제적 요소는 무엇인지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기존 사례에서 도출된 공동체 자치의 성공과 실패 요인에 따라제주해녀 공동체 내부 작동 기제를 분석한 결과, 신뢰와 호혜성을 향상시키는 생산과 분배체계, 내재된 공동체의식, 공식·비공식 조직의 역할 분담과 조직 내 제도화된 명시적, 암묵적 규범은 지속가능성의 내·외부 강점으로 작용했다. 그러나 네트워크의 폐쇄성, 생산성의 위기, 동질성의 약화와 새로운 주체의 등장은 내·외부 약점으로 작용했다. 결론적으로 향후 공유지 관리를 위한 제주해녀 공동체의 지속가능성을 위해서는 해녀학교를 활용한 노동의 재생산 기능의 재정비, 공동체 생업 및 문화 전승 주체의 명확성과 해녀 중심의 권한 유지, 그리고 해녀들의 기타소득 보장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사범대학 > 지리교육과 >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Lee, Jong Ho photo

Lee, Jong Ho
사범대학 (지리교육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