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16세기 진주 영천강 지역의 천방 개발The Cheonbang development of the Jinju Yeongcheon River area in the 16th century

Other Titles
The Cheonbang development of the Jinju Yeongcheon River area in the 16th century
Authors
박용국
Issue Date
Dec-2023
Publisher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Keywords
Jinju; Yeongcheon River; Yeongseoncheon; Myeonghongjeongcheon; Jerimcheonbang; Taekgyecheonbang; Jungpocheonbang; Sindaepocheonbang; Modamcheonbang; Honggyeongpocheonbang; Charyeongpocheonbang; Gunjeongpocheonbang; 진주; 영천강; 영선천; 명홍정천; 제림천방・택계천방・중포천방・신대포천방・모담천방・차령포천방・홍경포천방・군정포천방
Citation
영남학, no.87, pp 243 - 278
Pages
36
Indexed
KCI
Journal Title
영남학
Number
87
Start Page
243
End Page
278
URI
https://scholarworks.gnu.ac.kr/handle/sw.gnu/69339
ISSN
1738-7760
2713-8070
Abstract
이 글에서는 16세기 영천강 유역의 천방 개발을 그 천방과 관개지의 위치 및 특성을 중심으로 규명하였다. 지금의 진주 영천강은 진양지 산천조에 의하면 永善川과 介川水가 합류하여 冥鴻亭川을 이루고, 명홍정천이 명홍정 아래 굴곡리 지역을 지나 伊川이 되어 雲塘津[남강]으로 유입했다. 이는 영천강의 천방을 영선천과 명홍정천 지역으로 구분하는 이유이다. 영선천의 가장 상류에 위치하는 제림천방은 비록 소규모이지만 永昌驛의 公需田[公須田]인 永善縣坪의 관개를 위해 가장 이른 시기에 개발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하류의 택계・중포・신대포천방의 개발로 이어졌으며, 이들 천방은 각각 澤溪上下坪・吾邑谷坪・申大坪에 관개하였다. 영선천 지역의 제림천방은 하천수를 관개 지역의 수전에 바로 관개할 수 있는 방식의 개발이었으므로 천방과 수전 사이에 별도의 개거 시설이 필요하지 않았다. 택계・중포・신대포천방도 그와 같은 개발 방식이었으므로 그 관개지들도 중소규모였다. 이와 달리 명홍정천 지역의 네 천방에는 모담・차령포・군정포천방의 ‘逶迤遠引’과 홍경포천방의 ‘逶迤遠轉’을 통해 알 수 있듯이 천방과 관개지 사이에 최대 10리에 가까운 개거가 설치되어 있었다. 홍경포천방의 경우 관개지의 규모도 매우 컸다. 이들 두 지역의 8개소 천방은 모두 河蝕崖의 끝 지점에서 개발되었으므로 덕천강 지역의 두 천방이 여울에 개발되었던 것과 차이가 있었다. 이런 천방 개발로 인한 수전농업의 발전은 관포 어득강이 명홍정에서 홍경포천방의 상류지역의 들판을 바라보면서 ‘千頃의 稻田’이라 했던 사실에서도 짐작할 수 있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ETC >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