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혁신도시 건설에 따른 권역내·외 인구이동 특성Characteristics of Intra and Inter-Regional Population Mobility Resulting from Innovative City Development

Other Titles
Characteristics of Intra and Inter-Regional Population Mobility Resulting from Innovative City Development
Authors
강성원김혜림문태헌
Issue Date
Dec-2023
Publisher
한국지리정보학회
Keywords
혁신도시; 인구이동; 마이크로데이터; 국토균형발전; Innovation city; Population migration; MDIS; Balanced national development
Citation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26, no.4, pp 1 - 16
Pages
16
Indexed
KCI
Journal Title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ume
26
Number
4
Start Page
1
End Page
16
URI
https://scholarworks.gnu.ac.kr/handle/sw.gnu/69125
ISSN
1226-9719
2287-6952
Abstract
2005년에 전국적으로 10개 혁신도시의 위치 선정이 완료되었으며, 2013년부터는 공공기관이 혁신도시로 이전하기 시작하였다. 국토의 균형발전을 위해 시행되었던 정책이니만큼 지역에서 기대도 작지 않았다. 하지만 혁신도시 건설로 이전해 오는 인구는 늘었지만 과연 수도권에서 얼마나 유입되는지, 그리고 국토 공간적으로 어떤 특징이 있는지 분석해 봄으로써 혁신도시가 제대로 그 역할을 하는지를 알아보고, 향후 혁신도시의 정책방향을 재검토해 보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통계청의 MDIS(Microdata Integrated Service)를 이용하여 2013년부터 2021년까지 혁신도시에서 인구이동의 공간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총 10개 혁신도시 중 기존 시가지에 건설되어 혁신도시만의 인구 데이터 구축이 어려운 경우를 제외하고 3개 혁신도시만을 대상으로 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 혁신도시 개발 초기에는 수도권으로부터의 인구 유입이 많아 수도권 인구분산과 국토균형 발전에 일부 효과가 있었으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오히려 수도권으로 다시 유출되는 인구가 더 많아지는 현상이 나타나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또한 경북혁신도시와 광주전남혁신도시는 전입사유, 세대주연령, 세대원수 등에서 유사하였지만 경남혁신도시와 다른 특징이 나타났다. 그 이유는 다양하겠으나 현재 상태로는 혁신도시를 통해‘균형있는 국토발전’목표를 달성하기 한계에 도달했으므로 지역 특성을 고려한 혁신도시 개선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아울러 최근 논의되고 있는 제2차 공공기관 이전 계획도 이와 같은 문제를 반복하지 않기 위해 보다 신중하게 설계되어야 할 것이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공과대학 > 도시공학과 >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Moon, Tae Heon photo

Moon, Tae Heon
공과대학 (도시공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