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역(周易)』 몽괘(蒙卦)로 본 『구운몽』 의 주제의식The thematic consciousness of 『 Guunmong 』 interpreted as the Meng-gua( 蒙卦 ) of the Book of Changes( 周易
- Other Titles
- The thematic consciousness of 『 Guunmong 』 interpreted as the Meng-gua( 蒙卦 ) of the Book of Changes( 周易
- Authors
- 이중곤; 권호종
- Issue Date
- 2021
- Publisher
- 세계문학비교학회
- Keywords
- I-Ching(the Book of Changes); Edifying of Meng-gua; Guunmong; King Sukjong; Storytelling; 주역; 몽괘의 계몽성; 구운몽; 숙종조; 스토리텔링
- Citation
- 세계문학비교연구, no.74, pp.123 - 146
- Indexed
- KCI
- Journal Title
- 세계문학비교연구
- Number
- 74
- Start Page
- 123
- End Page
- 146
- URI
- https://scholarworks.bwise.kr/gnu/handle/sw.gnu/5456
- ISSN
- 1226-6655
- Abstract
- 본 연구의 목적은 『주역(周易)』 몽괘의 계몽적 맥락과 숙종 ( 肅宗 ) 에 대한 서포의 충정과 당쟁사건을 비교하면서 『구운몽』의 주제의식을 문화콘텐츠 창작을 위한 스토리텔링 관점에서새롭게 해석하고 탐색하는 것이다 . 『 주역(周易)』 몽괘는 계몽 ( 啓蒙 ), 즉 도 ( 道 ) 를 위한 교육의 의미가 있다 . 몽괘의 효사는 중국 주 ( 周 ) 나라의 어린 성왕 ( 成王 ) 이 숙부인 주공 ( 周公 ) 의 섭정에 따라 차츰 계몽 ( 격몽 ) 되면서 궁극에는 성군 ( 聖君 ) 이 된다는 이야기를 기호로 상징화한스토리텔링이라고 할 수 있다 . 그리고 『구운몽』 은 17 세기 숙종 때에 서포가 저작한 목적소설로 계몽 ( 교육 ) 적인 일면을 내포하고 있다 . 주인공 성진의 ‘ 꿈속의 또 다른 주인공 양소유 ’ 는 8 명의 부인들과 함께 성공적인 삶의 모습을 보여주는데 , 이것은 제왕의 위상이다 .
대학자이자 정치가였던 50 대의 김만중은 20 대 중반의 왕 숙종이 장옥정 ( 희빈 ) 을 재 입궁시킨 후에 정쟁에 휘말려 정계에서 퇴출되어 유배형을 당했지만 , 젊은 숙종이 격몽 ( 擊蒙 ) 되어서 치세하는 성군이 되기를 원했다 . 『구운몽』 의 서사와 숙종의 정황은 몽괘의 효사처럼 어리고 어리석은 사람이 깨달음에 이른다는 이야기에 적용할 수 있다 . 즉 몽괘의 계몽성은 『구운몽』 주제의식을 통해 서포가 당시 사회에 전하고자 한 이념적 메시지를 은유적으로포괄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Appears in
Collections - 인문대학 > 중어중문학과 >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