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고무증량재 및 플라스틱 충진재의 대체재로 UC와 CM의 재활용Recycle of Unburned Carbon and Microceramics as Alternatives to Rubber Weight-Adding Materials and Polypropylene Filling Agents

Other Titles
Recycle of Unburned Carbon and Microceramics as Alternatives to Rubber Weight-Adding Materials and Polypropylene Filling Agents
Authors
한광수김둘선이동근
Issue Date
2021
Publisher
한국청정기술학회
Keywords
비산재; 부유선별; 고무증량재; 플라스틱 충진재; Fly ash; Flotation; Rubber weight-adding material; Plastic filling material
Citation
Clean Technology, v.27, no.1, pp.24 - 32
Indexed
KCI
Journal Title
Clean Technology
Volume
27
Number
1
Start Page
24
End Page
32
URI
https://scholarworks.bwise.kr/gnu/handle/sw.gnu/5452
ISSN
1598-9712
Abstract
미연 탄소(unburned carbon, UC)는 대두유를 포수제로 사용하여 부유선별공정을 통해 최대 85.8 wt%까지 비산재로부터 성공적으로 회수되었다. CM (ceramic microsphere)은 부유선별공정 다음 공정인 하이드로 사이클론 분리공정으로부터 18 wt%의 수율을 얻을 수 있었고 회수한 UC와 CM을 각각 고무증량재와 플라스틱(polypropylene) 충진재의 대체재로 사용하여 산업재로 활용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입자가 큰 UC는 볼밀을 사용하여 평균입경 10.2 μm로 작게 분쇄하였다. 분쇄된 UC를 점토 대신에 고무증량재로 사용하였을 때 인장강도와 신율이 다소 낮게 나와 고무제품의 표준조건을 만족시키지는 못하였다. 따라서 표준조건을 충족시키기 위해 UC는 고무와 보다 긴밀한 결합이 필요하였고, 이를 위한 표면 에너지를 향상시키는 추가적인 처리가 필요하였다. CM은 평균입경이 5 μm의 구형입자로 관찰되었으며, 입자의 표면을 페놀수지, 폴리올, 스테아린산, 올레인산으로 개질하였다. 표면 개질된 CM은 PP (polypropylene) 충진재로 사용되었다. 표면 개질된 CM을 사용한 제품은 흐름성은 양호하였으나 결합력 부족으로 충격강도 및 굴곡강도는 향상되지 못하였다. 그러나 표면 개질된 CM에 유기물과 무기물의 대표적 컬플링제인 실란 1 wt%을 추가적으로 혼합함으로써 충격강도 및 굴곡강도가 크게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공과대학 > 화학공학과 >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Lee, Dong Keun photo

Lee, Dong Keun
공과대학 (화학공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