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당일기慕堂日記를 통해 본 모당慕堂 손처눌孫處訥의 한시 짓기와 그 의미Modang Son Cheonul’s Writing Chinese Poems and its Meaning, Viewed from Modang Diary
- Other Titles
- Modang Son Cheonul’s Writing Chinese Poems and its Meaning, Viewed from Modang Diary
- Authors
- 이미진
- Issue Date
- 2021
- Publisher
- 한국국학진흥원
- Keywords
- 모당일기; 손처눌; 한시연구; 일상의 기록; 교유의 수단; 소통의 도구; 일기 속 한시; Modang Diary; Son Cheonul; Research on Chinese poems; records of daily life; means for friendship; communication tools; Chinese poems in the diary
- Citation
- 국학연구, no.44, pp 141 - 188
- Pages
- 48
- Indexed
- KCI
- Journal Title
- 국학연구
- Number
- 44
- Start Page
- 141
- End Page
- 188
- URI
- https://scholarworks.gnu.ac.kr/handle/sw.gnu/5440
- DOI
- 10.36093/ks.2021..44.004
- ISSN
- 1598-8082
- Abstract
- 본고는 대구 지역 대표 사림 모당慕堂 손처눌孫處訥(1553~1634)이 작성한 모당 일기慕堂日記 속 한시를 대상으로, 당시 사대부 문인들의 일상 속 한시짓기와 그 의미를 고찰한 것이다. 모당일기는 모당이 48세가 되던 1600년부터 71세가 되던 1634년까지 중간에 누락 부분을 포함하여 총 25년 7개월간의 기록으로, 여느 일기에 비해 작시作詩 장면이 자주 등장하는데다 매우 생동감있게 기술되어 있어, 모당에게 있어 한시짓기라는 행위가 생활 속에 어떻게 침투되어 있는지 살펴보기에 충분하다. 일기 속 작시 장면을 살펴본 결과, 모당은 일생 전반에 걸쳐 주변 경물景物에 대한 감정을 담아내고자 할 때, 특정 저작을 읽은 뒤나 특정 사건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표명하고자 할 때, 유람 및 만남의 자리에서 시흥詩興이 일었을 때, 타인과의 이별을 기념하기 위해, 도움을 받거나 받은 물건에 사례하기 위해, 상호간의 증답贈答이나 화답和答을 위해, 그리고 죽은 이를 애도하 기 위해 등 다양한 상황에서 다양한 동인에 의해 시를 지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모당의 한시 짓기는 저자의 작가적 감수성이나 상상력과 무관하게, 그 날 그 순간의 생각과 감정을 그대로 옮긴 것으로, 작품의 미감이나 완성도를 떠나 작성 당시 저자의 날 것 그대로의 감정이 녹아 있다는 점에서 현장성 높은 기록이라 할 수 있다. 또한 혼자만의 창작 저술 활동이기 보다 타인과 안부를 주고 받고, 상대에게 자신의 생각과 의견을 개진하고 교감하는 등 주변인들과의 소통의 창구이자 대화의 수단이기도 했다. 모당일기에 나타난 다양한 작시 장면을 통해, 모당에게 있어 한시 짓기란 유자儒者로서의 학문의 한 과정이자 여가 선용을 위한 교양있는 문자 행위, 그리고 서로간의 연대와 결속을 강화하기 위한 사교 활동이었음을 알 수 있다.
-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Appears in
Collections - 인문대학 > 한문학과 >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