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소나무재선충병 피해지에 식재된 편백의 낙엽· 낙지에 의한 탄소 및 질소 유입량Carbon and Nitrogen Inputs by Litterfall of Chamaecyparis obtusa Planted in Pine Wilt Disease-disturbed Forests

Other Titles
Carbon and Nitrogen Inputs by Litterfall of Chamaecyparis obtusa Planted in Pine Wilt Disease-disturbed Forests
Authors
강현철백경원최병길하지석김춘식
Issue Date
2021
Publisher
한국산림과학회
Keywords
carbon; double-layer forest regeneration; Japanese cypress; litterfall; nitrogen; pine wilt disease
Citation
한국산림과학회지, v.110, no.1, pp.43 - 52
Indexed
KCI
Journal Title
한국산림과학회지
Volume
110
Number
1
Start Page
43
End Page
52
URI
https://scholarworks.bwise.kr/gnu/handle/sw.gnu/5433
ISSN
2586-6613
Abstract
소나무재선충병 피해목을 모두베기하거나 미피해 곰솔을 잔존하고 편백을 수하식재 한 15년생 편백 조림지를 대상으로 1년 동안(2018년 12월∼2019년 12월) 낙엽·낙지에 의한 탄소 및 질소 유입량을 조사하였다. 편백의 평균 흉고직경은 모두베기구가 12.10 cm로 수하식재구의 9.42 cm에 비해 유의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편백 낙엽의 유기탄소 및 질소 농도는 모두베기구나 수하식재구 사이에 유의적인 차이(P > 0.05)가 없었으나, 낙엽의 C/N비는 8월∼10월에 유입된 낙엽이93으로 12월∼3월 사이에 유입된 낙엽의 143보다 유의적으로 낮았다. 낙엽·낙지 구성 성분의 탄소 농도는 곰솔 가지, 편백낙엽, 곰솔 낙엽 등의 탄소 농도가 활엽수나 기타 물질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질소 농도는 활엽수 잎, 편백 녹엽(green leaf), 기타 물질 등이 편백 낙엽이나 곰솔 가지 등에 비해 높은 농도를 보였다. C/N비는 곰솔 낙엽과 편백 낙엽이기타 물질, 편백 녹엽, 활엽수 낙엽 등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편백 낙엽에 의한 유기탄소 및 질소 유입량은 모두베기구가 773 kg C ha-1 yr-1와 6.95 kg N ha-1 yr-1로 수하식재구 78 kg C ha-1 yr-1와 0.70 kg N ha-1 yr-1에 비해 유의적으로많은 양이 유입되었다. 그러나 총 유기탄소 및 질소 유입량은 수하식재구 3,765 kg C ha-1 yr-1와 47.6 kg N ha-1 yr-1 , 모두베기구 1,290 kg C ha-1 yr-1와 17.2 kg N ha-1 yr-1로 수하식재구가 상층 곰솔의 낙엽·낙지 유입으로 인하여 3배 정도 많았다.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모두베기구에 조성된 편백의 흉고직경 생장은 수하식재구에 비해 양호하였으나, 낙엽·낙지에 의한 탄소 및 질소 유입량은 상당히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농업생명과학대학 > 환경산림과학부 >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im, Choon Sig photo

Kim, Choon Sig
농업생명과학대학 (환경산림과학부)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