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식물 정유 clove oil 및 pine oil의 잡초방제 효과와 성분분석Herbicidal Effects and Component Analysis of Clove Oil and Pine Oil as a Plant Essential oils

Other Titles
Herbicidal Effects and Component Analysis of Clove Oil and Pine Oil as a Plant Essential oils
Authors
이성근안수정홍점규이상우윤재길박기웅최성환이증주
Issue Date
2021
Publisher
한국잔디학회
Keywords
비선택성제초제; 식물정유; 친환경 잡초방제; 클로버 오일; 파인오일; Clove oil; Eco-friendly weed control; Essential oil; Non-selective herbicide; Pine oil
Citation
Weed & Turfgrass Science, v.10, no.1, pp.35 - 44
Indexed
KCI
Journal Title
Weed & Turfgrass Science
Volume
10
Number
1
Start Page
35
End Page
44
URI
https://scholarworks.bwise.kr/gnu/handle/sw.gnu/5429
DOI
10.5660/WTS.2021.10.1.035
ISSN
2287-7924
Abstract
본 연구는 식물 정유인 clove oil과 pine oil에 의한 벼 엽록소 함량 감소, 잡초방제 효과 및 식물 정유에 포함된 주요 유기화합물의 성분을 확인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식물 정유 처리 24, 48, 96, 및 168시간 후의 벼 엽록소 함량은 clove oil 10배 희석액의 경우 무처리 대비 각각 59.9, 54.6, 27.1, 및 14.5%였으며, pine oil 10배 희석액은 각각 47.2, 23.5, 15.7, 및 10.9%로 나타났다. Clove oil과 pine oil 10배 희석액의 엽록소 함량 감소효과는 glufosinate ammonium 기준량 처리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냈다. 식물 정유 희석액의 잡초방제 효과는 농도가 높아질 수록 증가하였는데, 그 정도는 잡초종의 종류에 따라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화본과 잡초는 광엽 잡초에 비해 방제 효과가 높은 경향이었으며, 광엽 잡초 중 비름 및 가막사리에 대한 방제 효과는 깨풀, 털별꽃아재비 및 닭의장풀 보다 더 높은 경향이었다. 식물 정유 성분을 분석한 결과 clove oil의 주성분은 squiterpene에 속하는 caryophyllene (44.61%) 및 phenolpropanoids에 속하는 eugenol (38.93%) 이었으며, pine oil의 주성분은 monoterpene에 속하는 (+)-3-carene (38.53%), α-terpinolen (23.15%) 및 limonene (10.86%)이었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농업생명과학대학 > 식물의학과 > Journal Articles
농업생명과학대학 > 원예과학부 >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Choi, Sung Hwan photo

Choi, Sung Hwan
농업생명과학대학 (원예과학부)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