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제도 가라산·노자산 일대 낙엽활엽수림의 생태적 특성 규명Identification of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Deciduous broad-leaved forest, Garasan(Mt.)·Nojasan(Mt.) at GeoJae
- Other Titles
- Identification of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Deciduous broad-leaved forest, Garasan(Mt.)·Nojasan(Mt.) at GeoJae
- Authors
- 이수동; 조봉교; 이광규; 염정헌; 오충현
- Issue Date
- 2021
- Publisher
- 한국환경생태학회
- Keywords
- 환경요인; 천이경향; 식생구조; 경쟁; Environmental Factor; Succesion trends; Vegetation structure; Competition
- Citation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35, no.2, pp 204 - 219
- Pages
- 16
- Indexed
- KCI
- Journal Title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Volume
- 35
- Number
- 2
- Start Page
- 204
- End Page
- 219
- URI
- https://scholarworks.gnu.ac.kr/handle/sw.gnu/5403
- ISSN
- 1229-3857
2288-131X
- Abstract
- 본 연구는 남해안에 분포하는 양호한 산림 식생의 복원과 관리뿐만 아니라 장기적인 측면에서 기후변화에 따른 변화경향을 파악하고자 가라산과 노자산 서사면에 분포하는 식생의 식물군집구조 특성을 조사․분석하였다. 86개 조사구를 대상으로 군락을 분류한 결과, 저지대를 중심으로 분포하는 곰솔-굴피나무군락, 곰솔-소나무군락, 계곡부 및 전석지대를 중심으로출현하는 개서어나무-낙엽활엽수군락, 때죽나무-낙엽활엽수군락, 고로쇠나무-낙엽활엽수군락, 낙엽활엽수군락, 느티나무군락, 상대적으로 해발고가 높고 급경사 사면에 분포하는 졸참나무군락, 졸참나무-때죽나무군락, 때죽나무-소사나무군락, 참회나무군락으로 유형화되었다. 천이경향상 상록침엽수는 낙엽활엽수로의 천이가 진행될 것이나 수령이 약 50년인 개서어나무, 느티나무, 고로쇠나무 등 낙엽활엽교목림은 층위구조가 발달되었을 뿐만 아니라 생태적으로 안정되어 현재의 상태를 유지할것으로 판단되었다. 환경요인으로는 표고, pH, 점토와 실트의 함량, Mg++, Ca++ 등이 식물 군락 분포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Appears in
Collections - 건설환경공과대학 >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