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VID-19 바이러스 유행 및 대응책이 중소도시에서의 수돗물 소비에 미치는 영향 연구open accessA Study on Impact of Coronavirus (COVID-19) Outbreak and Countermeasures on Water Consumption in the Small-Medium Sized City
- Other Titles
- A Study on Impact of Coronavirus (COVID-19) Outbreak and Countermeasures on Water Consumption in the Small-Medium Sized City
- Authors
- 김시연; 윤석민; 장석현; 조귀래; 박노석
- Issue Date
- 2021
- Publisher
- 대한환경공학회
- Keywords
- 코로나-19 대유행; 가정용; 업무용; 영업용; 대중탕 용수; COVID-19 Pandemic; Household; Office; Business; Public Bath
- Citation
- 대한환경공학회지, v.43, no.5, pp.357 - 366
- Indexed
- KCI
- Journal Title
- 대한환경공학회지
- Volume
- 43
- Number
- 5
- Start Page
- 357
- End Page
- 366
- URI
- https://scholarworks.bwise.kr/gnu/handle/sw.gnu/5346
- DOI
- 10.4491/KSEE.2021.43.5.357
- ISSN
- 1225-5025
- Abstract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인구 약 300,000명 정도 국내 중소도시를 대상으로 코로나-19 대유행으로 인해 야기된 시민들의 행동 및 생활의 변화가 수돗물 소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에서는 2018년 1월부터 2020년 12월까지 행정동별, 용도별, 시민들의 수돗물 사용량 데이터를 입수하였다. 수돗물의 용도는 가정용(household), 업무용(office), 영업용(business) 및 대중탕용(public bath)으로 구분하고 있다. 월 데이터를 이용하여 동, 읍 및 면단위로 35개의 행정소구역의 2018년부터 2020년 12월까지 데이터를시계열로 분석하였다.
결과 및 토의: 연구 대상인 국내 J_도시의 용도별 수돗물 소비패턴을 분석한 결과 가정용 용수의 사용량은 미세하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나 업무용, 영업용 및 대중탕 용수는 변화 추이가 크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결론: 가정용은 2020년의 소비량이 2018년과 2019년에 비해 약간 높은 것을 알 수 있으며, 나머지 업무용, 영업용및 대중탕용수는 소비량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마도 재택근무와 학생들의 비대면 수업이 증가하면서 가정용수의 소비는 증가하고 업무용 및 영업용수의 소비는 감소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Appears in
Collections - 공과대학 >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