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벤담의 의무론과 도덕발달교육에 관한 연구 -AI 로봇 활용을 위한 윤리적 알고리즘의 형성 가능성을 중심으로-A Study of the Education of Moral Development in J. Bentham’s Deontology -with emphasis on the probability of ethical algorithm to utilize AI robots-

Other Titles
A Study of the Education of Moral Development in J. Bentham’s Deontology -with emphasis on the probability of ethical algorithm to utilize AI robots-
Authors
송선영
Issue Date
2021
Publisher
한국공공사회학회
Keywords
쾌락; 고통; 이해관계; 동기; 의무; 고통주의; 윤리적 알고리즘; pleasure; pain; interest; motive; duty; painism; ethical algorithm
Citation
공공사회연구, v.11, no.2, pp.150 - 180
Indexed
KCI
Journal Title
공공사회연구
Volume
11
Number
2
Start Page
150
End Page
180
URI
https://scholarworks.bwise.kr/gnu/handle/sw.gnu/5332
DOI
10.21286/jps.2021.05.11.2.150
ISSN
2233-663X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벤담의 『의무론』의 양상에서 공리성의 원리를 도덕발달교육에 적용할 수 있는 양상을 검토하고, 이를 인공지능형 로봇 시스템에 활용할 수 있는 윤리적 알고리즘의 가능성을 탐색하는 데 있다. 공리성의 원리에 따르면, 쾌락과 고통의 계산에서 최대 행복의 결과를 산출하는 행동을 하는 것이 도덕적으로 올바르다. 벤담은 행위의 결과와 관련해서 다양한 감정과 느낌을 쾌락과 고통의 영역으로 단순화함으로써 자신의 『의무론』체계를 제시하였다. 이는 모든 사람의 쾌락과 고통을 동등하게 계산하고자 하고, 이들을 최대 행복을 산출하는 도덕적 행위자로 이끌고자 했던 그의 열망과 부합한다. 이를 오늘날 도덕교육의 과제와 연관해서 볼 때, AI Robots 활용을 위한 윤리적 알고리즘과 연계할 수 있다. 벤담의 『의무론』에서는 다양한 감정들과 느낌들이 쾌락과 고통의 영역으로 세분화되어 있고, 이를 바탕으로 고통 제거의 윤리적 알고리즘으로 제안할 수 있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사범대학 > 윤리교육과 >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Song, Sun Young photo

Song, Sun Young
사범대학 (윤리교육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