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비선형 자기조직화 모형을 적용한 학교 조직 변화 과정 분석: 질적 사례 연구An Analysis on the Organizational Change Process in School using the Nonlinear Self-Organizing Model: A Qualitative Case Study

Other Titles
An Analysis on the Organizational Change Process in School using the Nonlinear Self-Organizing Model: A Qualitative Case Study
Authors
주영효
Issue Date
2021
Publisher
안암교육학회
Keywords
복잡계; 비선형 자기조직화; 학교 조직; 창발; 질적 사례 연구; complex system; nonlinear self-organization; school organization; emergence; qualitative case study
Citation
한국교육학연구, v.27, no.2, pp.247 - 280
Indexed
KCI
Journal Title
한국교육학연구
Volume
27
Number
2
Start Page
247
End Page
280
URI
https://scholarworks.bwise.kr/gnu/handle/sw.gnu/5251
DOI
10.29318/KER.27.2.9
ISSN
1598-9054
Abstract
전통적 학교 조직 관점 또는 모형은 일반적으로 횡단적・선형적 입장을 견지해 왔기 때문에 복잡한 학교 조직의 변화 과정을 설명하기에 한계가 있다. 반면, 비선형 자기조직화 모형은 학교 조직의 다양한 내・외적 요인과 시간에 따른 비선형적 변화・발전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조직 변화 과정을 이해 및 분석하고, 조직 개선을 기획하는데 있어서 유용하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본 연구는 선행 비선형 자기조직화 모형을 적용 및 고도화하고자 고교학점제 연구학교 가운데 A고등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학교 조직 변화 과정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질적 사례 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A고등학교 교원을 대상으로 6개월의 시차를 둔 종단적 심층 면담 자료와 함께 문서 자료를 수집하고, Merriam의 순차적・순환적 3단계 절차와 방법을 적용하여 질적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① 시간의 흐름 속에서 조직 구조, 행위자, 문화의 역동적 상호작용이 학교 조직 변화의 주요 동인이었으며, 특히 조직 구성원의 인지가 조직 변화와 새로운 질서의 안착(安着)에서 중요한 요인이었다. ② 학교 조직은 혼돈의 가장자리와 임계점 통과, 공진화 및 소산구조 출현 과정을 거쳐 새로운 안정 단계로 접어들었으며, ③ 변화의 촉발과 급진적 조직 변화 과정에서 학교장 및 실무 담당 교사들이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종합하여 비선형 자기조직화의 단계별 주요 요소와 특징을 반영한 비선형 자기조직화 모형의 고도화 방안을 제안하고, 학교 조직 연구 및 이론 관련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사범대학 > Department of Education >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Joo, Young Hyeo photo

Joo, Young Hyeo
사범대학 (교육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