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소나무와 굴참나무 임분의 가지 분해율과 탄소 및 질소 동태 비교Comparisons of Decomposition Rates, Carbon and Nitrogen Dynamics of Branches in Pinus densiflora and Quercus variabilis Stands

Other Titles
Comparisons of Decomposition Rates, Carbon and Nitrogen Dynamics of Branches in Pinus densiflora and Quercus variabilis Stands
Authors
최병길백경원김형섭손요환김춘식
Issue Date
2021
Publisher
한국농림기상학회
Keywords
Carbon; Nitrogen; C/N ratio; Decomposition rate; Mineralization; Quercus variabilis; Pinus densiflora
Citation
한국농림기상학회지, v.23, no.2, pp.89 - 99
Indexed
KCI
Journal Title
한국농림기상학회지
Volume
23
Number
2
Start Page
89
End Page
99
URI
https://scholarworks.bwise.kr/gnu/handle/sw.gnu/5245
ISSN
1229-5671
Abstract
본 연구는 경상남도 산청과 진주 지역으로부터 서로 인접하여 생육하고 있는 소나무와 굴참나무를 대상으로 기질의 특성, 임분 종류, 토양 및 기상 환경요인 등이 가지의 분해율과 탄소 및 질소 동태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수행하였다. 직경 2.0∼4.0cm, 길이 10cm의 가지 시료를 30cm × 30cm 크기의 매쉬 백에 넣은 후 2018년 5월 각 임분의 임상에 매설하였으며 2018년 8월과, 11월, 그리고 2019년 2월과, 5월에 각 조사구에서 회수하여 가지의 분해율과 탄소 및 질소 동태를 조사하였다. 매설 12개월 후 가지 분해율은 산청-소나무(4.49%) < 진주-소나무(5.75%) < 산청-굴참나무(20.01%) < 진주-굴참나무(24.68%) 순서로 나타나 두 지역 모두 굴참나무 가지가 소나무에 비해 빠른 분해를 보였다. 탄소 및 질소의 경우 굴참나무는 순 무기화를 나타냈으며, 소나무는 탄소 및 질소의 축적 및 저장이 나타나 수종 간 다른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서로 인접하여 생육하고 있는 두 수종의 분해율과 탄소 및 질소 동태는 지역⋅환경적 요인보다 수종 간 초기 질소 농도, C/N율과 같은 기질의 특성이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농업생명과학대학 > 환경산림과학부 >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im, Choon Sig photo

Kim, Choon Sig
농업생명과학대학 (환경산림과학부)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