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계열 분석의 Arima 모형을 이용한 종돈장 사육규모별 사육두수 예측Prediction of Breeding Animals by Swine Breeding Scale using ARIMA Model in Time Series Analysis
- Other Titles
- Prediction of Breeding Animals by Swine Breeding Scale using ARIMA Model in Time Series Analysis
- Authors
- 차대협; 이기환; 손지현; 선두원; 임현태; 이정규; 최태정; 구양모
- Issue Date
- 2021
- Publisher
- 한국동물유전육종학회
- Keywords
- Time-series Analysis; ARIMA Model; Breeding Farm; Swine; 시계열 분석; Arima 모형; 종돈장; 사육두수 예측; 종돈
- Citation
- Journal of Animal Breeding and Genomics, v.5, no.2, pp 31 - 50
- Pages
- 20
- Indexed
- KCICANDI
- Journal Title
- Journal of Animal Breeding and Genomics
- Volume
- 5
- Number
- 2
- Start Page
- 31
- End Page
- 50
- URI
- https://scholarworks.gnu.ac.kr/handle/sw.gnu/5241
- DOI
- 10.12972/jabng.20210003
- ISSN
- 1226-5543
- Abstract
- 본 연구는 종돈장 사육규모에 따른 시계열 예측 분석을 실시하여 종돈장별 적정 사육두수 유지, 종돈 사육동향 모니터링 및 미래 사육규모에 대한 적절한 대비를 하기 위한 자료로 활용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에는 2014년부터 2017년 6월까지 한국종축개량협회의 3개 품종에 대한 등록자료 546,473두의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사육규모별로 변화 추세의 예측을 위하여 SAS/ETS 프로그램의 시계열 RIMA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사육규모별 17년 6월 이후 향후 1년간 사육두수의 예측 추세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17년 7월 대비 18년 6월 예측 두수는 100두 미만 농장에서 약 430두(24.6%) 증가할 것으로 나타났고 100두 이상 300두 미만 농장에서는 약 389두(11.5%) 증가할 것으로 나타났으며 300두 이상 500두 미만 농장에서는 약 972두(21.6%) 증가할 것으로 나타났다. 500두 이상 농장에서 약 620두(10.6%) 증가할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체 농장은 약 2,843두(17.1%) 증가할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사육규모별 추세를 살펴보면 100두 미만 농장의 경우 전체적으로 봤을 때 감소할 것으로 나타났고 이를 제외한 모든 사육규모별 두수는 전체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종돈장 사육규모에 대한 시계열 예측방법과 분석 결과를 국내 종돈장의 적정 사육규모 설정을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한다면 종돈 및 양돈 산업 발전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Appears in
Collections - 농업생명과학대학 > 축산과학부 >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