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지하수수질측정망 자료를 활용한 경남 오염우려지역의 지하수 수질 특성Groundwater Quality Characteristics of Pollution Concerned Area in Gyeongnam Using Groundwater Quality Monitoring Data

Other Titles
Groundwater Quality Characteristics of Pollution Concerned Area in Gyeongnam Using Groundwater Quality Monitoring Data
Authors
차수연서양곤
Issue Date
2021
Publisher
한국청정기술학회
Keywords
지하수 수질; 오염감시전용측정망; 주오염원; 분기; Groundwater quality; Pollution exclusive monitoring network; Main pollution source; Quarter
Citation
Clean Technology, v.27, no.2, pp.174 - 181
Indexed
KCI
Journal Title
Clean Technology
Volume
27
Number
2
Start Page
174
End Page
181
URI
https://scholarworks.bwise.kr/gnu/handle/sw.gnu/5211
ISSN
1598-9712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경상남도 지역의 오염감시전용측정망의 5년간(2013 ~ 2017) 자료를 이용하여 주오염원과 분기별 지하수 수질특성을 분석하였다. 주오염원은 산업단지지역, 광산・폐광산지역 및 하수처리시설로 구별하였다. 분석 항목은 현장측정 항목(수온, pH, 전기전도도, 용존산소, 산화물환원전위), 양이온 그리고 음이온이었다. 수온과 pH는 주오염원에 따라 크게 변하지않았다. 양이온과 음이온의 평균농도의 합은 산업단지지역에서 가장 높았고, 하수처리시설 그리고 광산・폐광산지역 순이었다. 산업단지지역에서는 전기전도도의 값이 가장 높았고, 용존산소의 값이 가장 낮았다. 산업단지지역은 나트륨이온이 가장높은 구성비를 보인 반면 하수처리시설과 광산・폐광산지역에서는 칼슘이온이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모든 주오염원에서 중탄산염의 농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수온, pH 그리고 양이온과 음이온의 농도는 분기마다 크게 다르지 않았다. 수질유형 중 Na-HCO3 유형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으나, 외부 오염의 가능성이 높은 Na-Cl 유형도 오염감시전용측정망의 전체 자료 중 약 20%를 차지하였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공과대학 > 화학공학과 >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Seo, Yang Gon photo

Seo, Yang Gon
공과대학 (화학공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