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재생사업 모니터링 지표 구축 및 적용에 관한 기초 연구: 울산 중앙동 도시재생사업에 대한 주민인식 및 만족도를 중심으로A Study on Selection and Application of Indicators for Urban Regeneration Project Monitoring: Focused on the Residents’ Perception and Satisfaction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 in Ulsan Jungang-dong
- Other Titles
- A Study on Selection and Application of Indicators for Urban Regeneration Project Monitoring: Focused on the Residents’ Perception and Satisfaction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 in Ulsan Jungang-dong
- Authors
- 김건형; 강영은; 손승우
- Issue Date
- 2021
- Publisher
- 한국지리학회
- Keywords
- Urban regeneration; Indicator selection; Monitoring system; Residents’ awareness; Residents’ satisfaction; 도시재생; 지표 구축; 사업 모니터링; 지역주민 인지도; 지역주민 만족도
- Citation
- 한국지리학회지, v.10, no.2, pp.259 - 275
- Indexed
- KCI
- Journal Title
- 한국지리학회지
- Volume
- 10
- Number
- 2
- Start Page
- 259
- End Page
- 275
- URI
- https://scholarworks.bwise.kr/gnu/handle/sw.gnu/5122
- DOI
- 10.25202/JAKG.10.2.5
- ISSN
- 2287-4739
- Abstract
- 본 연구에서는 도시재생사업이 당초 계획대로 추진되고 있는지를 파악하고 평가하기 위해 도시재생사업 모니터링 지표를 구축하였으며, 현재 추진 중인 울산 중앙동 도시재생사업에 대한 모니터링 검증을 수행하였다. 모니터링 지표는 울산 중앙동 도시재생사업 계획과 도시재생사업 모니터링 및 성과 평가 관련 선행연구를 토대로 중심시가지형 도시재생사업의 모니터링에 적합한 지표를 도출하였다. 울산 중앙동 도시재생사업 평가 결과, 도시재생사업의 인지도, 만족도, 이용빈도의 평균값이 4점 이상(리커트 5점 척도)으로 도시재생사업 시행 전에 비하여 주민의식 및 만족도가 높아졌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도시재생사업 성과 평가의 초기 단계로 사업 시행 전 지표 값의 부재 등으로 인해 모든 지표에 대한 성과 평가를 시행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선정한 지표 전체를 활용한 모니터링 내용을 가지고 장기적 관점에서 도시재생사업의 모니터링 및 개선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통해 도시재생사업 완료 후에도 지속가능한 모니터링 시스템이 구축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도시재생사업 모니터링 지표 선정에서 각 사업의 특성에 적합한 지표 선정이 요구되므로 도시재생사업의 유형과 대상 환경 등 특성에 대한 깊은 고민이 필요하다.
-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Appears in
Collections - 건설환경공과대학 >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