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장대 단층 중부 구간 모곡리 단층의 제4기 활동성 및 누적 변위The Quaternary Activity and Cumulative Offset of the Mogok Fault in the Central Part of Jangdae Fault, Mogok-ri, Haman-gun, South Korea

Other Titles
The Quaternary Activity and Cumulative Offset of the Mogok Fault in the Central Part of Jangdae Fault, Mogok-ri, Haman-gun, South Korea
Authors
홍영민신재열
Issue Date
2021
Publisher
대한지리학회
Keywords
모곡리 단층; 장대 단층; 제4기 단층; 좌수향 이동 단층; 지표 누적 변위; Mogok Fault; Jangdae Fault; Quaternary Fault; sinistral strike-slip fault; cumulative surface offset
Citation
대한지리학회지, v.56, no.4, pp.449 - 459
Indexed
KCI
Journal Title
대한지리학회지
Volume
56
Number
4
Start Page
449
End Page
459
URI
https://scholarworks.bwise.kr/gnu/handle/sw.gnu/5085
DOI
10.22776/kgs.2021.56.4.449
ISSN
1225-6633
Abstract
본 연구는 장대 단층 중부 구간에 위치한 함안군 모곡리 단층을 중심으로 연구 지역 일대의 단층 운동 특성 및 운동 시기, 제4기 후기 동안의 누적 변위량을 논의하고 있다. 지금까지 장대 단층은 경사 이동이 포함된 좌수향 운동 특성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왔는데, 본 고에서는 모곡리 단층 및 지역 일대의 지형 분석을 통해 운동 감각과 제4기 활동성에 관한 직접적인 증거를 최초로 제시하고 있다. 모곡리 단층은 단층의 상반인 남서측 지괴가 북동측으로 ~0.8m 상향 이동한 역이동성 운동 감각을 보인다. 모곡리 단층 주변으로 나타나는 단층 구조 및 단층 지형의 발달 특성은 모곡리 단층의 역이동성 운동이 장대 단층 구간 중 가지 단층의 발달 분기점에서 장대 단층의 좌수향 이동 감각에 수반된 전달압축력에 의해 형성되었음을 시사하고 있다. 지형 변위 분석에서 모곡리 단층은 선상지 3면으로 분류된 미고결 퇴적층을 절단하며, 제4기 후기 동안 1~2.5m의 누적 수직 변위량을 보여준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사범대학 > 지리교육과 >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Shin, Jae Ryul photo

Shin, Jae Ryul
사범대학 (지리교육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