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졸업학년 간호대학생의 영성과 영적안녕이 영적간호역량에 미치는 영향The Effects of Senior Nursing Students' Spirituality and Spiritual Well-being toward Spiritual Care Competency

Other Titles
The Effects of Senior Nursing Students' Spirituality and Spiritual Well-being toward Spiritual Care Competency
Authors
최금희홍민주권수혜
Issue Date
2021
Publisher
한국자료분석학회
Keywords
spirituality; spiritual well-being; spiritual care competency; nursing students; 영성; 영적안녕; 영적간호역량; 간호대학생
Citation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23, no.4, pp.1829 - 1841
Indexed
KCI
Journal Title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ume
23
Number
4
Start Page
1829
End Page
1841
URI
https://scholarworks.bwise.kr/gnu/handle/sw.gnu/5081
DOI
10.37727/jkdas.2021.23.4.1829
ISSN
1229-2354
Abstract
본 연구는 졸업학년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영성, 영적안녕, 영적간호역량 정도를 확인하고, 이들 변수가 영적간호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시도되었다. 울산지역 소재 일개 간호학과에 재학 중인 4학년 256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고, SPSS WIN 21.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서술통계,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hierarchical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중 종교의 중요성(F=3.896, p=.004), 전공만족도(F=8.086, p<.001), 학업성적(F=5.842, p=.003), 내세에 대한 믿음(t=.674, p=.023), 실습 중 영적간호 경험(t=3.946, p=.025)에 따라 영적간호역량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영적간호역량의 영향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영성(β=.438, p<.001), 영적안녕(β=.136, p=.014), 실습 중 영적간호 경험(β=.130, p=.013)이 영적간호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으며 전체 설명력은 35.0%로 나타났다. 따라서 졸업학년 간호대학생의 영적간호역량을 증진하기 위해서는 영성을 강화하고 영적안녕을 증진할 수 있는 영적간호역량 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이 필요하며, 간호학부 정규 교육과정을 통해 영적간호실습의 기회가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간호대학 > Department of Nursing >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Hong, Min Joo photo

Hong, Min Joo
간호대학 (간호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