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의성 씨름의 전개 양상과 역사적 의의The Development of Uiseong Ssireum and its Historical Significance

Other Titles
The Development of Uiseong Ssireum and its Historical Significance
Authors
이정렬문성국이가람
Issue Date
2021
Publisher
대한무도학회
Keywords
ssireum; Uiseong; school ssireum team; folk ssireum; 씨름; 의성; 학교 씨름부; 민속씨름
Citation
대한무도학회지, v.23, no.3, pp 37 - 52
Pages
16
Indexed
KCI
Journal Title
대한무도학회지
Volume
23
Number
3
Start Page
37
End Page
52
URI
https://scholarworks.gnu.ac.kr/handle/sw.gnu/4986
DOI
10.35277/kama.2021.23.3.37
ISSN
1738-1231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 씨름의 역사적 정체성을 확보하기 위한 일환으로 의성 지역 씨름에 대한 역사적 고찰을 시도했다. 의성 지역은 독립 이후 한국 씨름의 패권을 잡았던 경북 대구 씨름과의 교류 아래 독자적인 군민씨름대회 개최와 의성씨름향우회의 후원으로 성장의 발판을 마련했다. 이후 1960-70년대의성 씨름은 봉양중, 의성중, 의성고 씨름부의 창단을 통해 체계적으로 지역 씨름 인재들이 배출되고, 씨름의 집과 같은 지역 씨름인들의 훈련 공간이 마련되면서 본격적인 발전을 경험했다. 이러한 과정에서 배출된 의성 출신 씨름인들은 학교 씨름부의 전국화와 민속씨름의 태동과 대중화에 공헌함에 따라한국 씨름의 체계적인 전승과 공간적 파급성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사범대학 > Physical Education >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Lee, Ka Ram photo

Lee, Ka Ram
사범대학 (체육교육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