퐁주의 초현실주의 비판과 이성적 글쓰기Critique du surréalisme de Ponge et son écriture rationnelle
- Other Titles
- Critique du surréalisme de Ponge et son écriture rationnelle
- Authors
- 이춘우
- Issue Date
- 2021
- Publisher
- 한국프랑스문화학회
- Keywords
- 초현실주의; 자동 기술; 투시자; 광기; 꿈; 이성; surréalisme; automatisme; voyant; folie; rêve; raison
- Citation
- 프랑스 문화 연구, v.50, no.1, pp.255 - 287
- Indexed
- KCI
- Journal Title
- 프랑스 문화 연구
- Volume
- 50
- Number
- 1
- Start Page
- 255
- End Page
- 287
- URI
- https://scholarworks.bwise.kr/gnu/handle/sw.gnu/4963
- DOI
- 10.18022/acfco.2021.50.1.010
- ISSN
- 1229-697X
- Abstract
- 고독한 초현실주의자로서의 시기까지 고려하면 퐁주가 초현실주의로부터 받은 직간접적 영향은 결코 무시할 수 없을 것이다. 그들과 직접적으로 교유하는 동안 실제로 초현실주의의 영향을 느낄 수 있는 시를 쓰기도 했다. 「법과 예언자들 La Loi et les Prophètes」Proêmes, OC I, pp. 194-195.
이 대표적이다. 미래 시제를 사용하여 예언자적 어조를 띠게 한 것도, 낯설고 혼란스러운 이미지의 전개도 그렇다. 『혁명에 기여하는 초현실주의』 창간호에 실린 「이성 이상 Plus-que-raisons」이라는 시는 상상력을 통한 정신의 절대 자유를 칭송한 초현실주의 선언문의 노선을 잘 따르고 있다. 하지만, 글레즈가 지적하고 있듯이 이 시는 전혀 퐁주적이지 않다.Gleize, Francis Ponge, p. 54.
그는 초현실주의자들과 저항의 정신은 공유했을지언정, 몇몇 시를 빼고 그의 시작법은 그들과 사뭇 달랐다. 말하자면 사회적 입장의 유사성에도 불구하고 문학에 대한 입장은 퐁주와 초현실주의자들이 매우 달랐던 것이다. 1930년 이전에 이미 초현실주의 시작법을 비판하는 글들과 시들을 여러 편 썼다는 사실이 이를 방증한다. 우리는 퐁주가 왜, 그리고 어떤 점에서 초현실주의의 문학적 태도를 비판하는지 몇 가지 핵심 주제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그리고 이러한 비판을 바탕으로 그가 추구한 글쓰기 방향은 무엇인지 살펴볼 것이다. 퐁주의 초현실주의 비판의 주요 내용들을 살펴보려는 우리의 시도는 초현실주의 미학과 대립되는 퐁주의 사물의 시학이 형성되어 가는 과정과 이 시학의 핵심적 쟁점들을 이해하는 하나의 유용한 계기를 제공해 줄 것이다.
-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Appears in
Collections - 인문대학 > 불어불문학과 >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