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땅밀림지 규모와 지질특성 기반의 땅밀림지 영향인자 분석Analysis on Scale and Geological Characteristics-Based Influence Factors in Land Creep

Other Titles
Analysis on Scale and Geological Characteristics-Based Influence Factors in Land Creep
Authors
박재현박성균강민정임홍근
Issue Date
2021
Publisher
경상국립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Keywords
Cretaceous period; Geological factors; Land creeping; Sedimentary rocks; 땅밀림; 백악기; 지질적 요인; 퇴적암
Citation
농업생명과학연구, v.55, no.5, pp.37 - 51
Indexed
KCI
Journal Title
농업생명과학연구
Volume
55
Number
5
Start Page
37
End Page
51
URI
https://scholarworks.bwise.kr/gnu/handle/sw.gnu/4926
DOI
10.14397/jals.2021.55.5.37
ISSN
1598-5504
Abstract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발생된 57개의 땅밀림지를 대상으로 땅밀림의 내부요인인 지질특성을 분석하여 땅밀림지에 영향을 미치는 지질 인자를찾아내기 위해 실시하였다. 발생한 57개소의 땅밀림지 규모는, 평균 폭 208.2 m (52.8m ~ 1,001.3m), 평균길이 200.3 m (22.1m ~ 920.6m), 평균깊이 3.9 m (0.2m ~ 47.8m)이었다. 땅밀림지의 지질 시대는 백악기가 23개소(약 40.4%)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였으며, 경상누층군에서 가장많이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관분석 결과, 땅밀림이 발생한 피해지의 폭과 길이, 길이와 깊이는 1% 수준에서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를나타내었다. 지층과 주 구성암석 그리고 누층군과 지층, 주 구성암석과는 상관분석결과 1% 수준에서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땅밀림지는퇴적암지역이 가장 많았다. 땅밀림 발생유형은 붕적토땅밀림, 풍화암땅밀림, 점질토땅밀림, 암반땅밀림 순으로 빈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땅밀림이 우려되는 지질적인 요인을 가진 지역에 대해서는 개발 등에 대한 신중한 검토와 사전 조사평가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농업생명과학대학 > 환경산림과학부 >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Park, Jae Hyeon photo

Park, Jae Hyeon
농업생명과학대학 (환경산림과학부)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