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들뢰즈의 정치철학으로서의 구성주의적 제도이론 -흄에 대한 들뢰즈의 독해에 근거하여Théorie d’institution constructiviste en tant que philosophie de la politique chez Gilles Deleuze basée sur la lecture deleuzienne autour de Hume

Other Titles
Théorie d’institution constructiviste en tant que philosophie de la politique chez Gilles Deleuze basée sur la lecture deleuzienne autour de Hume
Authors
신지영
Issue Date
2021
Publisher
프랑스학회
Keywords
institution; croyance; création; praxis constructiviste; usage minoritaire; 제도; 믿음; 창조; 구성적 실천; 소수적 사용
Citation
프랑스학연구, no.97, pp 215 - 239
Pages
25
Indexed
KCI
Journal Title
프랑스학연구
Number
97
Start Page
215
End Page
239
URI
https://scholarworks.gnu.ac.kr/handle/sw.gnu/4716
DOI
10.18812/refc.2021.97.215
ISSN
1226-5128
2672-006X
Abstract
들뢰즈 혹은 들뢰즈와 가타리의 정치철학에 대한 연구는 대부분 프로이트-마르크스적 전통 속에서 전개되어왔다. 더 정확히는 네그리, 하트 등으로 대표되는 맑스주의자들에 의해 맑스주의적 관점에서 독해되어왔다고 볼 수 있다. 본 논문은 들뢰즈의 사상사 전체를 통해 아직까지 주목받지 못한 들뢰즈의 흄 독해에 근거하여 들뢰즈의 정치철학에 대한 다른 접근을 시도해보고자 한다. 흄에 대한 저서는 들뢰즈의 첫 저작이지만 니체와 스피노자에 대한 연구에 가려 크게 주목받지 못하였고, 그에 근거한 정치철학의 가능성은 더욱이 환기되지 못하였다. 그러나 사망 전 네그리와의 대담에서 다시금 흄에게서 발견한 <제도>에 대한 평생의 관심을 드러냈고, 대의가 아닌 창조로서의 정치에 대해 역설했다. 또한 주체와 공동체에 대한 네그리의 질문에는 민중과 세계에 대한 믿음으로 답하였다. 이에 우리는 제도 이론으로서의 들뢰즈의 정치철학이 흄에 대한 독해로부터 시작하여 『자본주의와 분열증』에서 발견할 수 있는 구성적 실천과 소수적 사용의 개념으로 이어지고 또 발전하였다고 논증하고자 한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인문대학 > 철학과 >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Shin, Ji Young photo

Shin, Ji Young
인문대학 (철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