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소나무 현실림의 지위지수별 잠재수확량 예측The Estimation of the Potential Yield by Site Index for Pinus Densiflora Forests

Other Titles
The Estimation of the Potential Yield by Site Index for Pinus Densiflora Forests
Authors
이상태박준형정상훈김형호
Issue Date
2021
Publisher
경상국립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Keywords
생장모델; 소나무; 임분밀도관리; 잠재수확량; 지위지수; Growth model; Korean red pine; Potential yield; Site index; Stand density management
Citation
농업생명과학연구, v.55, no.6, pp.31 - 38
Indexed
KCI
Journal Title
농업생명과학연구
Volume
55
Number
6
Start Page
31
End Page
38
URI
https://scholarworks.bwise.kr/gnu/handle/sw.gnu/4683
DOI
10.14397/jals.2021.55.6.31
ISSN
1598-5504
Abstract
본 연구는 우리나라 소나무림을 대상으로 지위지수를 기반으로 한 잠재수확량을 예측하여 직관적인 임분 생산력 지표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분석 자료는 2016~2019년에 실시한 제7차 국가산림자원조사(National Forest Inventory: NFI)와 2016~2017년에 실시한 전국 소나무 실태조사(Korea forest service, 2016; Korea forest service, 2017)를 통해 획득된 총 1,610 표본점 조사자료를 이용하였다. 지위지수 분류곡선과 임분밀도관리도를 이용하여 각 표본점의 지위 추정 및 기준임령 60년에 대한 생장예측을 실시하여 수확이 예상되는 평균 흉고직경과 임분재적을 추정하였다. 분석 결과, 예측된 재적 수확량은 전체 표본점 중 80.9%가 150~300m3 ha-1의 재적 수확이 가능한 것으로 분석되었고, 300m3 ha-1이상의 재적을수확할 수 있는 표본점은 223개소(13.9%)에 불과하였다. 수확이 예상되는 평균 흉고직경 예측값은 평균 흉고직경 30cm 이상의 목재를 수확할수 있는 표본점은 전체 20.9%에 불과하였고, 절반 이상인 55.4%가 20~30cm급의 목재 수확이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어 현실림의 생장 특성을반영한 시업체계의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현장에서 지위지수에 따라 잠재수확량을 가늠할 수 있도록 지위지수별 잠재수확량표를 작성하여 제공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앞으로 조림적지 평가 및 조림지 경영계획 수립에 활용성이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농업생명과학대학 > 환경산림과학부 >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im, Hyung Ho photo

Kim, Hyung Ho
농업생명과학대학 (환경산림과학부)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