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안전 위해물질의 발생 및 언론보도가 수산물 생산, 유통 및 소비에 미치는 영향The Effects of Hazardous Substances Generation and Media Reports on the Production, Distribution and Consumption of Aquatic Products
- Other Titles
- The Effects of Hazardous Substances Generation and Media Reports on the Production, Distribution and Consumption of Aquatic Products
- Authors
- 문성주; 강종호
- Issue Date
- 2021
- Publisher
- 한국수산경영학회
- Keywords
- 유해 물질; 언론 보도; 생산; 유통; 소비; Hazardous Substances; Media Reports; Production; Distribution; Consumption
- Citation
- 수산경영론집, v.52, no.4, pp 29 - 43
- Pages
- 15
- Indexed
- KCI
- Journal Title
- 수산경영론집
- Volume
- 52
- Number
- 4
- Start Page
- 29
- End Page
- 43
- URI
- https://scholarworks.gnu.ac.kr/handle/sw.gnu/4677
- ISSN
- 1225-1011
2288-1727
- Abstract
- 본 연구는 비브리오, 노로바이러스, 방사능, 패류독소, A형간염 등과 같은 위해물질 발생과 언론보도 사이에 상호관련성이 있는지와 위해물질 발생과 언론보도가 수산물의 생산, 유통 및 소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주요한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패류독소와 노로바이러스는 위해물질의 주된 발생 시기에 언론보도가 집중되었고, 비브리오, 방사능, A형 간염, 방사능은 위해물질 발생과 언론보도 사이에 큰 연관성이 없었다. 즉, 위해물질의 종류에 따라 발생과 언론보도 사이의 관련성에 차이가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위해물질 발생이 홍합은 생산량, 넙치와 오징어는 산지가격에 음의 영향을 미쳤고, 위해물질보도는 굴의 생산량, 넙치 산지가격에 음의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위해물질의 발생과 언론보도는 일부 수산물의 생산량 및 산지가격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위해물질 발생 및 보도는 수산물의 종류에 따라 유통마진에 서로 다른 영향을 미침을 알 수있었다. 이는 유통구조의 복잡성과 경직성에 의해 위해물질의 발생 및 보도가 유통시장에 영향을 미치기 어렵기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넷째, 소비자들은 방사능과 독성물질 등과 같은 위해물질 발생 시 수산물 식품 안전에 위협을 느껴해당 수산물의 소비를 크게 줄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게다가 위해물질 발생과 전혀 관련이 없는 국내산및 수입산 수산물 전체의 소비 기피로 이어질 가능성도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위해물질 발생 시대체재로 다른 수산물이 아닌 돼지고기를 선택하는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Appears in
Collections - 해양과학대학 > 해양수산경영학과 >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