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격화상상담의 전문적․윤리적 실천의 어려움: 기관 소속 상담자의 인식을 중심으로Professional and Ethical Issues in Remote Video Counseling: Perceptions of Counselors who Work at a Counseling Center
- Other Titles
- Professional and Ethical Issues in Remote Video Counseling: Perceptions of Counselors who Work at a Counseling Center
- Authors
- 김영화; 정진원; 인효연; 이자명; 이주영; 이아라
- Issue Date
- 2021
- Publisher
- 한국상담학회
- Keywords
- Video counseling; remote counseling; online counseling; counseling ethics; counseling professionals; 화상상담; 비대면 상담; 온라인상담; 상담윤리; 상담전문가
- Citation
- 상담학연구: 사례및실제, v.6, no.2, pp 25 - 46
- Pages
- 22
- Indexed
- KCI
- Journal Title
- 상담학연구: 사례및실제
- Volume
- 6
- Number
- 2
- Start Page
- 25
- End Page
- 46
- URI
- https://scholarworks.gnu.ac.kr/handle/sw.gnu/4655
- DOI
- 10.15703/kjccsp.6.2.202112.25
- ISSN
- 2508-5360
- Abstract
- 코로나19 팬데믹으로 대면상담에 제한이 생기고 원격화상상담이 급증함에 따라 원격화상상담의 전문적, 윤리적 실천을 위한 상담 현장의 고민도 커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원격화상상담을 시작한 상담전문가들이 원격화상상담의 전문적․윤리적 실천과 관련하여 어떠한 경험을 하고 있는지 탐색하였다. 성인을 대상으로 원격화상상담을 실시한 경험이 있는 대학상담센터 또는 청소년상담센터에 재직 중인 상담전문가 9명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원격화상상담에 대한 인식 변화’와 관련하여 1개의 범주, 5개의 하위범주, ‘전문적․윤리적 실천의 어려움’과 관련해서 7개 범주, 22개 하위범주, ‘전문적․윤리적 실천의 어려움에 대한 대처와 요구’와 관련하여 2개의 범주, 10개의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상담전문가들은 원격화상상담의 장점을 발견하고, 원격화상상담을 통해 상담접근성이 높아지고 상담의 저변이 확대되는 것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정보 보호, 내담자 사전 동의 및 상담 시간․연락 방법 등 구조화의 어려움, 원격화상상담 상황에서 적절한 상담적 개입에 대한 고민, 심리검사 및 집단상담 실시와 관련된 어려움, 상담자의 자기돌봄․역량개발에 대한 고민 등 다양한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담전문가들은 구조화 및 상담 과정에 변화를 주거나, 동료․기관과 협의하는 등의 방식으로 원격화상상담 시 발생한 어려움에 대처하고 있었으며 원격화상상담에 대한 추가적인 교육, 수퍼비전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원격화상상담의 특수한 맥락을 다루는 교육, 워크숍, 수퍼비전 등이 확대되어야 하며 원격화상상담에 대한 전문적, 윤리적 기준에 대한 개인적․조직적 차원의 논의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Appears in
Collections - 사회과학대학 > 심리학과 >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