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유기트랜지스터 내부 편재화 준위간 커플링에 의한 계면 전하이동의 비선형적 가속화 현상의 이해Understanding Interfacial Charge Transfer Nonlinearly Boosted by Localized States Coupling in Organic Transistors

Other Titles
Understanding Interfacial Charge Transfer Nonlinearly Boosted by Localized States Coupling in Organic Transistors
Authors
한송연김수진최현호
Issue Date
2021
Publisher
한국접착및계면학회
Keywords
Organic transistors; Charge transfer; Bias-stress; Interface
Citation
접착 및 계면, v.22, no.4, pp.144 - 152
Indexed
KCI
Journal Title
접착 및 계면
Volume
22
Number
4
Start Page
144
End Page
152
URI
https://scholarworks.bwise.kr/gnu/handle/sw.gnu/4652
ISSN
1229-9243
Abstract
유기반도체와 게이트 절연체 간 계면전하이동을 이해하는 것은 고성능 유기메모리, 고안정성유기전계효과 트랜지스터 (이하 유기트랜지스터) 개발에 기여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계면 간 전하이동의 특이거동, 즉 홀전하가 유기반도체에서 고분자절연체로 이동되어 편재화되는 것이 편재화 준위간의 커플링에 의해 비선형적으로 가속화될 수 있음을 최초로 밝혀내었다. 이의 규명을 위해 rubrene 단결정과 Mylar 절연체를 기반으로 한 유기트랜지스터를 vacuum lamination 공정으로 제작하여 반도체-절연체 계면의 반복적인 전사와 박리에도 안정적인 소자를 개발하였다. Rubrene 단결정과 Mylar film 의 표면을 각각 광유도 산소 확산법과 UV-오존 처리를 통해 결함을 생성시켰다. 그 결과, 계면 간 전하이동과 이에 의한 바이어스 스트레스 효과가 rubrene과 Mylar가 가진 편재화 준위 간 커플링에 의해비선형적으로 급격하게 가속화되었음을 관측하였다. 특히, rubrene 단결정에 있는 적은 밀도의 편재화준위가 계면 간 전하이동을 촉진하는데 가교역할을 함을 밝혀내었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공학계열 > Dept.of Materials Engineering and Convergence Technology >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Choi, Hyun Ho photo

Choi, Hyun Ho
나노신소재융합공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