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재회에서 시왕의 기능과 의미The Functions and Meanings of Siwang in Jaehoe

Other Titles
The Functions and Meanings of Siwang in Jaehoe
Authors
신미옥강인숙
Issue Date
2021
Publisher
남도민속학회
Keywords
Myeongbusiwang; Suryukjae; Yesujae; Yeongsanjae; Sasipgujae; Jaehoe; 명부시왕; 수륙재; 예수재; 영산재; 사십구재; 재회
Citation
남도민속연구, no.43, pp.139 - 169
Indexed
KCI
Journal Title
남도민속연구
Number
43
Start Page
139
End Page
169
URI
https://scholarworks.bwise.kr/gnu/handle/sw.gnu/4639
DOI
10.46247/NF.43.5
ISSN
1975-4728
Abstract
재회는 상․중․하 삼단을 중심으로 구성된다. 이 가운데 중단의 시왕은 재회의 목적에 부합하는 중심적 역할을 한다. 이는 선악을 심판하여 응보(應報)를 결정하는 기능을 통해 산자든 망자든 십불선업(十不善業)을 참회하여 윤회의 고통에서 벗어나 정토세계(淨土世界)를 구현하고자 하기 때문이다. 이 연구는 재회의 중심적 역할을 하는 시왕의 기능과 의미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시왕 의례의 형성과정을 통해 재회의 설행연원을 살폈다. 시왕 의례는 16세기에 간행된 『제반문』에서 독립된 재차로 확인된다. 이 재차를 중단의식으로 하는 예수재, 영산재, 각배재, 사십구재의 설행연원은 『제반문』 간행 이후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설행 연원에 대해서 고려시대부터라고 주장하는 것은 문헌이나 의례문 등의 근거를 찾을 수 없었다. 재회에서 시왕의 공통된 기능은 삼세의 선악을 심판하는 심판자의 역할이다. 시왕의 역할에 의한 기능과 의미에 따라 재회의 명칭이 정해진다. 시왕이 산자를 위할 때는 예수재라 하고, 망자를 위할 때는 영산재, 각배재, 사십구재가 된다. 여기서 각 재회별로 시왕이 갖는 기능과 의미의 차이점도 찾아볼 수 있다. 예수재에서는 산자가 전생 빚을 갚기 위해 헌납하는 명부전(冥府錢)을 수용하는 기능을 하면서 수복(修福)의 실천을 증명하는 의미가 있다. 시왕은 망자를 위한 재회에서 십악(十惡)을 참회하는 심판자 기능을 전제로, 재회에 따른 기능과 의미의 차이도 확인할 수 있다. 사십구재는 망자가 중음계(中陰界)에 머무는 동안 해당 대왕이 해당 죄업을 심판하여 참회하는 선별적 기능이 있고, 각배재는 중음을 벗어난 후 백일재, 소상재, 대상재와 같이 특정 망자를 대상으로 하는 선별적 기능과 천도재와 같이 소규모의 유정을 대상으로 하는 보편적 기능이 있으며, 영산재와 같은 불특정 다수의 망자를 대상으로 하는 보편적 기능이 있다. 이러한 기능을 통해 망자는 사후의 안위를, 시주는 개인과 가족의 안녕을 얻는 의미를 확인하였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인문대학 > 민속무용학과 >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ang, In Sook photo

Kang, In Sook
인문대학 (민속무용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