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교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인식 분석Analysis of the Perception of the School Sports Club Activities in Middle School
- Other Titles
- Analysis of the Perception of the School Sports Club Activities in Middle School
- Authors
- 김희규; 주영효
- Issue Date
- 2021
- Publisher
-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 Keywords
- School Sports Club Activities;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Club Activities; Sports Instructor; Educational Administration;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창의적 체험활동; 동아리 활동; 스포츠 강사; 교육행정
- Citation
-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v.25, no.4, pp.211 - 228
- Indexed
- KCI
- Journal Title
-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 Volume
- 25
- Number
- 4
- Start Page
- 211
- End Page
- 228
- URI
- https://scholarworks.bwise.kr/gnu/handle/sw.gnu/4625
- ISSN
- 2508-8165
- Abstract
- 본 연구는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의 편성·운영 현황 및 실태 분석과 교육행정 관점에서의 개선 방안 도출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 연구 조사 도구와 연구 결과와 교육과정 전문가의 자문에 기초하여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에 관한 전반적 인식, 운영 현황 및 인식, 시수 조정 방안 등 세 영역, 10개 문항으로 구성되는 설문 도구를 구안하였다. 설문은 2019년 기준 전국 3,231개 중학교 가운데 시도, 설립 유형을 고려한 층화표집을 실시하여 표집된 102개교 학교 교사 및 학생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교사 491명, 학생 1104명이 응답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를 정리하면, ①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의 목적·취지에 맞는 편성·운영 정도에 대해 학생 평균값이 교사에 비하여 높게 산출되었다. ② 체육시설에 대한 교사의 만족도가 낮고, 종목 선정은 학교 현실 반영 정도가 높았다. 또한, 학교스포츠클럽 강사 지도 비율이 높은 반면, 지도자 전문성에 대한 교사 집단의 평균값은 낮게 산출되었다.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에 관한 긍정적 생각 정도는 학생 집단의 평균값이 높고, 그 이유로 학생들은 ‘스트레스 해소’ 다음으로 ‘운동 기능 향상’, ‘체력 증진 및 비만 예방’ 등을 제시하였다. ③ 학생들은 현재의 136시간 편성의 확대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이상의 분석 결과에 터하여 본 연구는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활성화 및 개선 방안으로 지역사회와 학교의 인적·물적 네트워크 강화,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강사의 처우 개선,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 개정 필요 등을 제시하였다.
-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Appears in
Collections - 사범대학 > Department of Education >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