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창동예술촌 도시재생사업에 대한 이용자 만족도 분석Visitors' Satisfaction on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in Changdong Art Villag

Other Titles
Visitors' Satisfaction on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in Changdong Art Villag
Authors
정오승신유림최만진이강주
Issue Date
2021
Publisher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Keywords
도시재생; 창동예술촌; 이용자 만족도 분석; Urban Regeneration; Changdong Art Village; Visitors’ Satisfaction Analysi
Citation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23, no.6, pp 43 - 52
Pages
10
Indexed
KCI
Journal Title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ume
23
Number
6
Start Page
43
End Page
52
URI
https://scholarworks.gnu.ac.kr/handle/sw.gnu/4619
ISSN
1229-5752
Abstract
본 연구는 9년간 프로젝트가 진행되고 변화해 온 창동예술촌에 대해 방문객들을 대상으로 만족도 조사를 진행하였다. 조사 결과 남성은 41.3%, 여성은 54.1% 만족을 나타내었고, 연령별로는 10~20대 59.3%, 30~40대 50%, 50대 이상 27.5%의 만족 응답률을 보여주었다. 전체적으로는 49.2%가 만족한다고 응답하였다. 창동예술촌을 방문하는 방문객들의 높은 중요도와 만족도를 보이는 요소는 ‘건축물 외관’과 ‘전반적인 예술촌 분위기’로 도출되었고, 높은 중요도이면서 낮은 만족도를 보인 요소는 ‘외부접근성’과 ‘보행로’로 나타났다. 중요도와 만족도 모두 낮은 요소는 ‘벽화거리’와 ‘업종의 다양성’이었고, 낮은 중요도인 반면 높은 만족도를 보인 요소는 ‘내부접근성’과 ‘가로시설’로 나타났다. 프로젝트의 목표와 방문객의 만족도를 비교하였을 때 전반적인 예술촌의 분위기와 건축물의 외관 등 사업 계획 시 가장 중점을 두었던 요소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도출되어 사업의 방향과 목적이 방문객에게 잘 전달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외부 접근성, 보행로 등 창동예술촌 이용의 기반이 되는 인프라스트럭처에 대한 만족도가 낮게 나타나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지방자치단체와의 협력 관계가 중요하다. 벽화거리는 예술촌의 정체성을 부여하는 요소 중 하나라는 점에서 벽화에 대한 접근성과 가시성 고려, 추가적인 홍보, 유명작가 섭외 등을 통한 개선이 이루어져야 하고, 내부접근성 구성요소 중 안내표지판은 전체 연령대 이용자를 고려하여 지속적인 개선이 이루어져야 한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공과대학 > Department of Architecture >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