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한국 전통복식 문화에 기반한 크라우드 펀딩 사례 연구A Case Study of Crowdfunding based on Traditional Korean Costume Culture

Other Titles
A Case Study of Crowdfunding based on Traditional Korean Costume Culture
Authors
한재휘이은진
Issue Date
2021
Publisher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Keywords
한국 전통복식; 한복; 크라우드 펀딩; 패션 크라우드 펀딩; Korean traditional costume; Hanbok; crowdfunding; fashion crowdfunding
Citation
한국복식, no.46, pp.81 - 106
Indexed
KCI
Journal Title
한국복식
Number
46
Start Page
81
End Page
106
URI
https://scholarworks.bwise.kr/gnu/handle/sw.gnu/4594
ISSN
2005-3959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각광받고 있는 국내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을 대상으로 한국 전통복식 문화에 기반한 크라우드 펀딩의 변천 과정과 현황, 특징을 고찰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은 문헌연구와 사례연구로, 먼저 크라우드 펀딩을 이루는 구성요소, 플랫폼의 특징 등을 조사하였다. 이후 와디즈와 텀블벅에서 전통복식 문화 관련 키워드 검색을 통해 2014년부터 2021년까지 전통복식 문화가 활용된 크라우드 펀딩 사례 580건을 분석하였다. 2014년에서 2016년에는 전시· 행사· 캠페인에서 한국 전통복식 문화가 중점적으로 활용되었다. 2016년 에서 2017년 경에는 한복을 패션으로 입기 시작하며 저고리, 허리치마, 철릭원피스 등 여자 한복이 펀딩에서 인기를 얻었으며, 전통 매듭이나 소재를 활용한 패션 잡화, 홈· 리빙 콘텐츠 등이 나타났다. 2018년 경부터는 사회문화적으로 한복이 주목을 받았고, 이러한 영향으로 크라우드 펀딩에서 활용되는 한국 전통복식 문화도 다양해졌다. 철릭, 치마저고리 외에 두루마기, 창의 등의 복식이 다양해졌고, 누구나 편안하게 입는 남녀 공용 한복이 등장하면서 여자 한복 중심에서 점차 젠더리스화 되었다. 2019년 경부터는 전통복식 문화를 기반으로 한 펀딩이 급속도로 증가하며 새로운 메이커들이 유입되었다. 이때부터 서양복에 무늬나 장식 등 전통복식의 일부만을 결합한 복식도 트렌디하고 힙한 전통복식으로 여겨졌다. 2020년부터는 코로나 19 상황으로 시장이 급변하며, 웹툰· 일러스트 리소스 분야에서 전통복식이 콘텐츠로 다루어졌고, 실내에서 지내는 시간이 길어져 ‘한복 홈웨어’, ‘한복 라운지 웨어’가 등장했다. 이후 여러 사회문화적 요인과 편안한 전통복식을 표현함에 있어 한복의 시대적 범위가 삼국시대까지 확장되었다. 현재 크라우드 펀딩은 가장 주목받는 시장으로 본 연구는 지금까지 본격적으로 다루어지지 않았던 한국 전통복식 문화를 기반으로 한 크라우드 펀딩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음에 의의가 있고, 나아가 국내 크라우드 펀딩과 전통복식 시장의 발전에 기여하기를 바란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자연과학대학 > 의류학과 >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Lee, Eun Jin photo

Lee, Eun Jin
자연과학대학 (의류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