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남부지방 벼 2기작을 위한 적합품종 선정Selection of Rice Cultivars Adaptable to Rice Double Cropping System in Southern Korea Paddy Field

Other Titles
Selection of Rice Cultivars Adaptable to Rice Double Cropping System in Southern Korea Paddy Field
Authors
성덕경김영광배성문김형철이증주김철수정정성
Issue Date
2021
Publisher
경상국립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Keywords
2기작; 쌀수량; 벼; Double cropping system; Rice; Yield
Citation
농업생명과학연구, v.55, no.1, pp.33 - 39
Indexed
KCI
Journal Title
농업생명과학연구
Volume
55
Number
1
Start Page
33
End Page
39
URI
https://scholarworks.bwise.kr/gnu/handle/sw.gnu/4537
DOI
10.14397/jals.2021.55.1.33
ISSN
1598-5504
Abstract
본 연구는 최근 지구 온난화로 인하여 벼의 재배 가능 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남부지방의 벼 2기작 재배의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전기작 벼는 4월 15일에 9 개의 품종을 이앙하였다. 전기작 벼의 수확 후 후기작으로는 11개의 품종을 8월 1일에 이앙하여 11월 초에 수확하였다. 전기작의 5 개의 품종(기라라397, 백일미, 조안, 한설 그리고 중모1031)은 7월 말에 수확이 가능하였다. 전기작은 기라라397과 백일미 품종이수량이 가장 많았다. 전기작의 쌀 수확량은 지역 평균 수확량의 약 93% 정도였다. 후기작은 지녹과 기라라397이 수량이 가장 많았다. 후기작벼 재배에서 쌀 수확량은 정상적인 계절 재배보다 생육기간이 짧아 지역 평균 수확량의 약 70% 미만이었다. 결과적으로 한국 남부지역의벼2기작은 경제적 실효성이 아직은 높지 않지만 지구 온난화로 인한 평균기온 상승과 식량자급율을 고려하여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판단된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농업생명과학대학 > 농학과 > Journal Articles
농업생명과학대학 > 식물의학과 >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Chung, Jung Sung photo

Chung, Jung Sung
농업생명과학대학 (농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