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해안의 해안 지형에 대한 지리교육적 접근Geography-educational Approach to the Geomorphic Landscape of the South Coast in Korean Peninsula
- Other Titles
- Geography-educational Approach to the Geomorphic Landscape of the South Coast in Korean Peninsula
- Authors
- 기근도; 양재혁
- Issue Date
- 2021
- Publisher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 Keywords
- tectonic movement; lineament; sea level change; sand beach; tidal flat; gravel beach; 지구조 운동; 선구조; 해수면 변동; 모래 해빈; 간석지; 자갈 해빈
- Citation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29, no.1, pp 55 - 71
- Pages
- 17
- Indexed
- KCI
- Journal Title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 Volume
- 29
- Number
- 1
- Start Page
- 55
- End Page
- 71
- URI
- https://scholarworks.gnu.ac.kr/handle/sw.gnu/4535
- DOI
- 10.17279/jkagee.2021.29.1.55
- ISSN
- 1226-511X
2586-5641
- Abstract
- 이 연구는 우리나라 해안 지형에 대한 교과서의 내용이 동해안과 서해안 비교 중심으로 기술되어 있어서 소홀하게 다루어왔던 남해안의 해안 지형에 관련된 내용을 보완하기 위한 작업이다. 이를 위해 제3차 교육과정 교과서에서부터 현재 교육과정교과서에서 다루고 있는 남해안의 해안 지형에 관련된 내용을 분석하여, 남해안 해안 지형에 대한 주요 탐구주제를 선정하였다.
선정한 탐구주제는 남해는 어디에서부터 어디까지인가, 남해안은 융기 해안인가 침강해안인가, 남해안의 주요 해안 지형은 무엇이며, 어떤 지형형성작용을 거쳐 형성되었는가 등이다. 많은 섬과 만입의 출입이 복잡한 남해안은 물질 수지에 있어서 동해안이나 서해안과는 달리, 다른 해안지역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질의 간섭이 적다. 이에 따라 남해안 만입의 물질 수지는 육지로부터 공급되는 물질이 해안퇴적 지형에 뚜렷이 반영되어 나타난다. 남해안의 주요 해안퇴적 지형으로는 모래 해빈, 간석지, 자갈 해빈이 곳곳에 발달하며, 그 외의 주요 해안 지형으로는 해안단구, 해식애 등이 잘 발달한다. 이러한 다양한 해안 지형들은 기반암의 종류및 풍화 특성, 만입과 돌출부로 나타나는 해안의 지형환경 등이 상호작용하여 나타나는 결과이다
-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Appears in
Collections - 사범대학 > 지리교육과 >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