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가치측정법을 이용한 한류지원정책의 고용효과 분석Analyzing the employment impact of the Korean Wave support policies using the Contingent Valuation Method
- Other Titles
- Analyzing the employment impact of the Korean Wave support policies using the Contingent Valuation Method
- Authors
- 오선정; 김태영
- Issue Date
- 2021
- Publisher
- 한국문화산업학회
- Keywords
- Korean wave; employment impact; Contingent Valuation Method; 한류; 고용효과; 가상가치측정법
- Citation
- 문화산업연구, v.21, no.1, pp.51 - 59
- Indexed
- KCI
- Journal Title
- 문화산업연구
- Volume
- 21
- Number
- 1
- Start Page
- 51
- End Page
- 59
- URI
- https://scholarworks.bwise.kr/gnu/handle/sw.gnu/4488
- DOI
- 10.35174/JKCI.2021.03.21.1.51
- ISSN
- 1598-0936
- Abstract
- 한류는 1990년대 후반부터 민간 차원에서 발생한 현상이지만 한류가 국가 이미지에 미치는 중요성과 경제적 가치 때문에 정부는 한류의 유지 및 확산을 위한 다양한 정책을 수립하여 추진해오고 있다. 특히 정부는 2019년 문화·콘텐츠 산업과 한류·생활 소비재 산업에 대한 금융지원과 홍보 및 마케팅 지원정책을 수립하였고 이 정책들이 한류의 경제적 효과를 증대시키기를 기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한류 관련 사업체 설문조사를 통한 가상가치측정법을 이용하여 새로운 한류지원정책 도입에 따라 예상되는 고용효과를 정책지원이 없었을 경우와 비교하여 정량적으로 평가한다.
분석결과의 가장 큰 특징은 콘텐츠 산업뿐만 아니라 식·음료나 패션제조업에서도 한류지원정책의 긍정적인 고용효과가 크게 나타난다는 것이다. 이는 콘텐츠 산업이 아닌 소비재 산업에서는 산업이 한류와는 무관하게 성장했기 때문에 한류로 인한 산업의 발전이나 이로 인한 추가적인 고용의 여지가 더 크다고 해석될 수 있다. 또한 한류가 산업에 미치는 효과가 비교적 최근에 나타난 만화, 애니메이션, 캐릭터, 게임 산업에서 한류지원정책에 대한 산업계의 필요성이 크게 나타났는데, 이는 이 분야에서는 아직 한류의 경제적 효과를 정착시키기 위해서 정부의 지원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Appears in
Collections - 농업생명과학대학 > 식품자원경제학과 >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