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한국 남해에 출현하는 전갱이(Trachurus japonicus)의 위내용물 조성과 영양단계Diet composition and trophic level of jack mackerel, Trachurus japonicus in the South Sea of Korea

Other Titles
Diet composition and trophic level of jack mackerel, Trachurus japonicus in the South Sea of Korea
Authors
김도균성기창진수연서호영백근욱
Issue Date
2021
Publisher
한국수산해양기술학회
Keywords
Trachurus japonicus; Diet composition; Trophic level; 전갱이; 위내용물 조성; 영양단계
Citation
수산해양기술연구, v.57, no.2, pp 117 - 126
Pages
10
Indexed
KCI
Journal Title
수산해양기술연구
Volume
57
Number
2
Start Page
117
End Page
126
URI
https://scholarworks.gnu.ac.kr/handle/sw.gnu/4439
DOI
10.3796/KSFOT.2021.57.2.117
ISSN
2671-9940
Abstract
이번 연구에 사용된 전갱이 시료 417개체는 2019년 3월부터 2020년 2월까지 우리나라 남해에서 대형선망, 저층 트롤, 정치망으로 어획된 개체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전갱이의 전장 범위는 7.0-49.8 cm였다. 전갱이는 주로 난바다곤쟁이류와 어류를 섭식하는 육식성 어류인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전갱이의 위 내용물에는 두족류와 게류 등이 출현하였지만 그 양은 많지 않았다. 전갱이는 성장함에 따라 먹이생물 전환이 발생했다. 전갱이는 어류와 난바다곤쟁이류를 주 먹이생물로 하는 섭식 특화종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갱이의 크기군별 먹이섭식 특성을 알아본 결과, 전갱이는 성장함에 따라 평균 먹이생물 개체수(mN/ST, P>0.05)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평균 먹이생물의 중량(mW/ST, P<0.05)은 성장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전갱이의 평균 영양단계는 3.79 (s.e.=0.61)로 나타났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해양과학대학 > ETC >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Baeck, Gun Wook photo

Baeck, Gun Wook
해양과학대학 (해양생명과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