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風月機關 작가 고찰Analyzing the Author of FengYueJiGuan(風月機關)

Other Titles
Analyzing the Author of FengYueJiGuan(風月機關)
Authors
권호종이봉상
Issue Date
2021
Publisher
세계문학비교학회
Keywords
風月機關; 開卷一笑集; 柳浪館; 柳浪館主人; 三袁; 袁宏道; 李贄; FengYueJiGuan(風月機關); KaiJuanYiXiaoJi(開卷一笑集); LiuLangGuanZhuRen (柳浪館主人); LiZhi(李贄); YuanHongDao(袁宏道); YuanYuLing(袁于令)
Citation
세계문학비교연구, no.77, pp.55 - 74
Indexed
KCI
Journal Title
세계문학비교연구
Number
77
Start Page
55
End Page
74
URI
https://scholarworks.bwise.kr/gnu/handle/sw.gnu/4402
ISSN
1226-6655
Abstract
본고는 靑樓韻語의 경문 출처인 風月機關의 작자가 누구인지를 고찰하는 것이 주 된 목적이다. 청루운어의 經文과 유사한 내용이 보이는 문헌으로는 8종의 일용유서와 이지가 편찬한 開卷一笑集이 있다. (日)小川陽一이 주장한 바와 같이 “풍월기관은 이 지가 편찬한 개권일소집에 수록되어 널리 알려지면서” 대중들의 관심과 흥미를 끌게 되 었다. 그 결과 일상생활에 유용한 다양한 정보를 담아 출판하는 일용유서가 성행하는 시 대적 분위기 속에서 흥미로운 주제인 풍월기관은 여러 일용유서에 수록되었고, 그 과정 에서 각기 다른 주석이 추가되었다. 이렇게 세상에 널리 퍼지게 된 풍월기관은 다시 주 원량에 의해 주석이 가해지면서 청루운어의 경문으로 새롭게 탄생하게 된 것이다. 그런데 일용유서에 보이는 풍월기관은 모두 작자명이 기록되지 않았고, 개권일소집 의 풍월기관에서만 柳浪館主人이라고 작자명을 적고 있다. 일용유서는 관수편찬 유서와 달리 체례나 출판기록의 엄밀성이 떨어지고, 일상생활에 유용하거나 흥미와 재미를 추구 하고자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 때문에 일용유서에 풍월기관을 수록할 때 굳이 작자명을 명시할 필요성이 없었다. 본고에서는 개권일소집이 편찬되던 시기의 시대적 배경을 살펴보고 유랑관이라는 명 칭과 관련된 인물을 조사하면서 袁宏道와 袁于令이 풍월기관의 작자일 수 있다고 가정 하였다. 또한 여러 일용유서의 출판시기와 원굉도⋅원우령의 생졸 시기 및 교유관계를 분 석하여 유랑관주인이 원굉도임을 추론하였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인문대학 > 중어중문학과 >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won, Ho Jong photo

Kwon, Ho Jong
인문대학 (중어중문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