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D 프린팅 패션제품 이용의도에 대한 연구A Study on Usage Intention of 3D Printed Fashion Products
- Other Titles
- A Study on Usage Intention of 3D Printed Fashion Products
- Authors
- 조윤진
- Issue Date
- 2021
- Publisher
- 한국비즈니스학회
- Keywords
- 3D프린팅; 패션제품; 소비자; 기술준비도; 이용의도; 3D printing; fashion products; consumer; technology readiness; usage intention
- Citation
- 비즈니스융복합연구, v.6, no.1, pp.51 - 57
- Indexed
- KCI
OTHER
- Journal Title
- 비즈니스융복합연구
- Volume
- 6
- Number
- 1
- Start Page
- 51
- End Page
- 57
- URI
- https://scholarworks.bwise.kr/gnu/handle/sw.gnu/4377
- ISSN
- 2765-401X
- Abstract
- 3D프린팅 기술은 빅데이터, 사물인터넷, 자율주행차 등과 함께 4차산업혁명을 주도할 미래 핵심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3D프린팅 패션제품의 소비자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분석해보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기술준비도, 지각된 즐거움, 태도, 그리고 이용의도 간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한 모형을 제안하고, PLS 구조모형방정식을 통해 이를 검증하였다. 최종 219명의 샘플을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기술 준비도의 두 변수인 낙관성과 혁신성은 지각된 즐거움에 미치는 영향력에 있어 차이를 보였다. 낙관성은 지각된 즐거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혁신성은 지각된 즐거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낙관성과 혁신성은 3D프린팅 제품에 대한 태도에는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지각된 즐거움은 태도는 물론 이용의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태도는 이용의도에 매우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소비자들의 3D프린팅 제품 사용의도에 대한 이론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3D프린팅을 활용한 패션 산업과 소비자 이해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Appears in
Collections - 건설환경공과대학 > 텍스타일디자인학과 >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