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선형 가격인상기대효과에 대한 실증연구: 아파트 거래가격과 거래량을 중심으로open accessAn Empirical Study on the Nonlinear Price Increase Expectation Effect: Focusing on Apartment Transaction Price and Transaction Volume
- Other Titles
- An Empirical Study on the Nonlinear Price Increase Expectation Effect: Focusing on Apartment Transaction Price and Transaction Volume
- Authors
- 홍기선; Xue Wang; 곽영식; 홍재원
- Issue Date
- 2022
- Publisher
- 한국산학기술학회
- Keywords
- Price Expectation Effect; Price Decrease Expectation Effect; Price Increase Expectation Effect; Apartment Transaction Price; Apartment Transaction Volume
- Citation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23, no.1, pp.374 - 384
- Indexed
- KCI
- Journal Title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Volume
- 23
- Number
- 1
- Start Page
- 374
- End Page
- 384
- URI
- https://scholarworks.bwise.kr/gnu/handle/sw.gnu/2588
- DOI
- 10.5762/KAIS.2022.23.1.374
- ISSN
- 1975-4701
- Abstract
- 기존 가격기대효과(price expectation effect)는 미래에 상품가격이 내려갈 것을 예상하여 현재 상품의 구매를 늦추는 가격인하기대효과만을 다루고 있다. 반면에 본 연구는 아파트를 대상으로 미래 가격이 상승할 것을 예상하여 현재 시점 구매를 증가시키는 가격인상기대효과를 실증분석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특히 가격인상기대효과의 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구매량의 변화가 선형적으로 반응하지 않고 비선형적으로 반응하는 것에 이 연구의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상의 2006년부터 2020년까지의 15년간의 분당구 아파트 실거래가 자료를 바탕으로 가격인상기대효과를 실증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선형모델에서 가격인상기대효과는 거래량과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비선형모델 중 지수모형은 회귀식 자체가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비선형모델 중 자연대수 모형에서는 가격인상기대효과는 거래량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이 연구는 최초로 가격인상기대효과를 실증분석하였다는 데 학술적 의미가 있다. 또한, 가격인상기대효과가 거래량과 비선형적 관계로 존재함을 실증적으로 부동산시장 중 아파트를 대상으로 보여주었다는 학술적 공헌점이 있다. 실무적으로는 최근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영끌 현상’이 존재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는 의미가 있다.
-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Appears in
Collections - College of Business Administration > 국제통상학부 > Journal Articles
- College of Business Administration > 경영학부 >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