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산양삼 재배 적지 선정을 위한 재분류 방법 분석open accessAnalysis of Reclassification Methods for Selection of Suitable Wild-Simulated Ginseng Cultivation Sites

Other Titles
Analysis of Reclassification Methods for Selection of Suitable Wild-Simulated Ginseng Cultivation Sites
Authors
이총규강학모최수임김현
Issue Date
2022
Publisher
한국산학기술학회
Keywords
Equal Interval; Geometrical Interval; GIS; Natural Breaks(Jenks); Quantile; Reclassification Method; Wild-Simulated Ginseng
Citation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23, no.1, pp 421 - 427
Pages
7
Indexed
KCI
Journal Title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ume
23
Number
1
Start Page
421
End Page
427
URI
https://scholarworks.gnu.ac.kr/handle/sw.gnu/2586
DOI
10.5762/KAIS.2022.23.1.421
ISSN
1975-4701
2288-4688
Abstract
산양삼(WSG: Wild-Simulated Ginseng)은 재배 환경에 대한 높은 민감도로 수확기까지 생존율이 매우 낮은 식물이다. 이와 같은 식물적 특성을 고려하기 위해서는 지리정보시스템(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과 같은 과학적인 기법을 활용하여 최적의 생육 환경을 선정하는 것이 매우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GIS를 기반으로 산양삼의 재배 적지를 선정하는 과정의 최종 단계인 재분류 방법에 따른 적지 선정 결과를 분석하였다. 재분류 방법은 등 간격(EI: Equal Interval), 분위수(Q: Quantile), 내추럴 브레이크(Jenks)(NB: Natural Breaks(Jenks)), 그리고 기하학적 간격(GI: Geometrical Interval) 방법을 적용하였다. 재분류 방법에 따른 산양삼의 재배 적지 선정 결과, 내추럴 브레이크(Jenks) 재분류 방법이 다른 재분류 방법들보다 넓은 면적을 적지로 선정하였다. 재분류 방법별로 선정된 적지에 대한 실제 재배지와의 Zonal statistics 분석에서는 내추럴 브레이크(Jenks) 재분류 방법에 의해 선정된 적지가 실제 재배지와 가장 높은 중첩률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재분류 방법의 정확도 분석에서는 등 간격과 기하학적 간격 재분류 방법에 의한 정확도가 가장 높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GIS를 기반으로 한 산양삼의 재배 적지 선정에 있어서 재분류 방법의 선택에 대한 고민을 해결해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농업생명과학대학 > 환경산림과학부 >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Lee, Chong Kyu photo

Lee, Chong Kyu
농업생명과학대학 (환경산림과학부)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