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제도 학동 및 해금강 일대에 분포하는 난대림 식생의 생태적 특성 연구Ecological Characteristic of Warm Temperate Vegetation Distributed around Hakdong and Haegeumgang at Geojae Island
- Other Titles
- Ecological Characteristic of Warm Temperate Vegetation Distributed around Hakdong and Haegeumgang at Geojae Island
- Authors
- 이수동
- Issue Date
- 2022
- Publisher
- 한국환경생태학회
- Keywords
-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SUCCESSION SERE; POTENTIAL NATURAL VEGETATION; ENVIRONMENTAL FACTOR; 상록활엽수림; 천이계열; 잠재자연식생; 환경요인
- Citation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36, no.1, pp.72 - 86
- Indexed
- KCI
- Journal Title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Volume
- 36
- Number
- 1
- Start Page
- 72
- End Page
- 86
- URI
- https://scholarworks.bwise.kr/gnu/handle/sw.gnu/2545
- ISSN
- 1229-3857
- Abstract
- 본 연구는 거제도 학동 일대에 분포하는 상록활엽수림의 식물군집구조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진행하였다. 조사구 는 교목층, 아교목층, 관목층에 생달나무, 참식나무, 후박나무 등이 우점하거나 출현하는 식생군락 또는 입지환경의 변화가 있는 지역을 대상으로 52개의 방형구를 설정하였다. TWINSPAN에 의한 군락 분류 결과, 참식나무-생달나무군 락, 생달나무-동백나무군락, 동백나무군락, 굴참나무-동백나무군락, 동백나무-생달나무군락, 구실잣밤나무군락, 곰솔군 락, 굴피나무-예덕나무군락으로 구분되었다. 잠재자연식생을 반영한 난대림의 천이계열은 상록침엽수와 낙엽활엽수는 상록활엽수로 이행된다라는 연구 결과를 반영한다면, 곰솔, 굴피나무, 굴참나무 등이 우점하는 군락은 생달나무, 참식나 무 등의 상록활엽수림으로 진행될 것으로 추정되었다. 교목층과 아교목층에서 생달나무, 참식나무, 구실잣밤나무의 세력이 우세한 지역은 인위적인 교란이 없다면 현상태를 유지할 것이다. 환경요인과 식생분포간의 관계를 살펴보면, 토양의 물리적 특성 중 점토가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쳤는데 이는 급경사지에 입지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 외에 토양산도(pH) 5~5.84, 전기전도도 0.047∼0.139dS/m, 유기물함량 3.32∼12.06%로 군락별 차이는 있었으나 전반적으로 낮았다.
-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Appears in
Collections - 건설환경공과대학 >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