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경상남도 통근권에 관한 연구 -경상남도 행복 생활권과 비교하여 -A Study on Commuting Rights in Gyeongsangnam-do Using Network Analysis - Compared to the happy living area in Gyeongsangnam-do -

Other Titles
A Study on Commuting Rights in Gyeongsangnam-do Using Network Analysis - Compared to the happy living area in Gyeongsangnam-do -
Authors
김경원주희선
Issue Date
2022
Publisher
한국주거학회
Keywords
생활권; 빅데이터; 중심성 분석; 커뮤니티 분석; Living Zone; Big Data; Centrality Analysis; Community Analysis
Citation
한국주거학회논문집, v.33, no.1, pp.19 - 29
Indexed
KCI
Journal Title
한국주거학회논문집
Volume
33
Number
1
Start Page
19
End Page
29
URI
https://scholarworks.bwise.kr/gnu/handle/sw.gnu/2539
DOI
10.6107/JKHA.2022.33.1.019
ISSN
2234-3571
Abstract
도시 계획에서, 생활권은 원활한 행정 처리를 위하여 설정되었다. 생활권은 시민의 삶을 위해 사용되는 개념이다. 그러나, 인구 규모에 따라 생활권 계획은 시·군의 위계질서에 따라 행정구역의 획일적인 세분화를 시도하여, 교통수단이 발달한 후 다른 도시의 도시 거주자의 실제 생활권과는 일치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제 설정된 생활권 및 크기를 비교하여 서로 다르다는 것을 확인하고자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경상남도와 경상남도의 대도시를 중심으로 실제 인구이동에 따른 생활권을 설정하기 위한 것이다. 경상남도는 중소도시와 농촌이 많이 위치한 지역으로, 2019년에는 SKT의 생활인구 데이터를 활용해 인구 이동에 따른 실제 생활권을 파악했다. 이후 중심성 분석 및 커뮤니티 분석을 통해 경상남도의 중심성이 높은 지역을 파악하여 커뮤니티 분석을 통하여 생활권을 설정하였다. 실제로 경남 행복지역생활권과 비교한 결과 행복지역에는 7개 생활권이 있는 반면, 커뮤니티 분석으로 인하여 설정된 생활권은 6개 생활권으로 나뉘었다. 실제 생활공간에서의 이동이 생활권에서의 설정과 달라 실제 생활공간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인구의 출퇴근 등 실제 인구 이동을 고려한 도시계획이 필요하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공과대학 > 도시공학과 >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Joo, Hee Sun photo

Joo, Hee Sun
공과대학 (도시공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